아이가 부모의 지시나 요청에 반항적인 태도를 보일 때, 부모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아이가 부모의 지시나 요청에 반항적인 태도를 보일 때, 부모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이때 훈육의 목적을 잃지 않고 아이와의 관계를 유지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
아이가 부모의 지시나 요청에 반항할 때는 먼저 감정을 안정시키고, 차분하게 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의견과 감정을 경청하고, 왜 반항하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하세요. 명확한 규칙과 기대를 설정하고, 반항적 행동에 대한 일관된 결과를 설명합니다.
아이가 반항적인 태도를 보일 때 화가 날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감정을 가라앉히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반항적인 태도를 보이며 말을 듣지 않을 때에는 부모입장에서는 당황스럽고 힘들 것 같습니다.
부모는 당황하지 말고 차분하게 감정을 조절해야 합니다. 즉각적인 대결보다는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경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왜 반항하는지 이유를 물어보고, 공감하면서 대화를 이어가세요. 이후, 일관된 규칙과 기대를 다시 한번 명확히 설명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제시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부모의 지시나 요청에 반항적인 모습을 보이는 행동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바로 잡아주셔야 합니다.
아이에게 지시나 요청을 했는데 반항적인 모습을 보였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부모님이 이야기를 하는데 부모님의 이야기를 무시하거나, 화를 내거나, 짜증을 내며 반항하는 태도를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세요. 그리고 왜 부모님의 이야기를 무시하거나, 화를 내거나, 짜증을 내며 반항을 하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이해를 도와가며 아이의 눈높이에 맞게 부드럽게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아이가 반항적인 모습을 보였을 때에는 그만한 이유도 있었겠지요. 그렇기에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아이와 진솔한 대화를 나누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반항적인 태도가 어떤 상황이나 맥락에서 나왔는지, 그리고 그 반항이라는 게 아이 입장에서는 충분히 억울할 상황인지 등을 고려해 보아야 하겠으나, 일반적으로는 반항을 받아주거나 쩔쩔맨다면 이후 훈육에서 안 좋은 쪽으로 강화가 될 수 있는 만큼 어느 정도의 권위를 세워서 반항을 받아주지 않고 눌러주는 게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부모의 지시나 요청에 반항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아이가 원하지 않는것일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이가 반항적인 태도를 보이는 이유를 먼저 분석해주시는게 중요합니다. 반항적이라고 막연하게 훈육을 하시는것은 아이의 입장에서는 억울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이와 많은 대화를 나눌 수 있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감정적으로 대하기 보다는 차분한 목소리와 언어로 대화 합니다.
명확한 규칙을 설명하고 항상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규칙이나 결과 외에도 따뜻한 관심과 사랑을 표현하며 아이와 유대를 강화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결국에 반항하는 아이들은 자신의 의사표현을 하는 방법을 적절하게 할 줄 몰라서 그렇습니다. 이럴 때에는 일단 아이의 감정을 공감해주시고 마음을 가라앉힌 다음, 아이와 실제적인 대화를 민주적으로 시작하셔야 합니다. 부모님에게 반항하고 예의없이 하는 것은 결코 올바르지 못한 것이라는걸 인지시켜 주시고 아이가 현재 어떠한 것을 하길 원하는지를 물어보셔서 명확하게 들어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