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기운찬갈매기134
기운찬갈매기13422.03.19

오이의 향을 싫어하는사람과 좋아하는 사람이 나누어져있는 이유가 있나요?

오이의향을 유난히 좋아하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오이의 향이 너무싫어서 못먹는 사람이 있는데요. 유독 오이의향을 두고 호불호가 갈리워지는 이유가 있을까요? 오이의 향에 숨은 과학적인 이유가 있을까해서 질문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오이의 향에 대한 호불호에 대해 질문 주셨는데요.

    오이의 향에 민감한 사람과 민감하지 않는 사람은 오이에 들어있는 특이한 성분에 대해 반응하는 부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오이의 향을 인지하는 범위의 차이가 있습니다. 미각에서 어떤 사람은 해당 인지를 할 수 있는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지만, 다른 사람은 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향신료마다 사람들의 인지 범위는 유전자에 영향을 받습니다.

    오이의 향을 비롯해 특정 향신료에 대한 사람마다 인지가 다른 이유는 각각의 가설이 있지만, 저는 다음과 같은 가설이 인상적이었습니다.

    현대의 도시 생활을 시작한지 인간은 역사적으로 보면 매우 짧고, 정착 생활을 한지도 인류 전체로 보자면 짧은 시기입니다. 대부분 수렵 생활을 하면서 인류는 진화해왔습니다. 수렵 생활을 하다보면, 여러 종류의 향신료를 접하게 됩니다. 그중에서는 약이되는 것도 있고 독이되는 것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오이 향이 나는 "독풀"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럼 이에 민감한 사람들(오이향에 심한 악취를 느끼는 사람)은 기피할 것이고, 이에 대해 무덤덤한 사람들은 선호할 것입니다. 당시는 식량이 매우 부족했으니 여러 음식을 먹을 수 있으면 생존에 유리했죠. 이 상황에서 오이 향을 기피하는 유전자를 지닌 사람들은 다수 살아남을 것입니다. 반면,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죽음에 이르겠죠. 그 집단은 "오이향을 싫어하는 사람"들이 더 많이 남아 해당 유전자가 퍼지게 될 것입니다. 다른 향신료들도 이런 배경을 따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는 여러 가설 중 하나이며, 명확한 과학적 근거로 분석된 사항은 아니므로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질문에 충분한 답변이 되셨을까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을 단순히 이분법적인 사고로 나눌 수는 없을 겁니다.

    향을 좋아하는것도 좋아하는 정도가 다르고 싫어하는것도 싫어하는 정도가 다를겁니다..


  • 오이에 민감한 유전자 형이 있습니다.

    쓴맛에 민감한 유전자는 PAV (프롤린 - 알라닌 -발린) 이고,

    둔감한 유전자는 AVI (알라닌-발린-이소류신)으로 나뉩니다.

    PAV형을 가진 사람은 AVI형보다 많게는 1000배 가까이 쓴 맛에 더 민감합니다.

    부모 모두 PAV 형을 물려받은 오이에 매우 민감할 확률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전형질에 따라 달라집니다.

    오이를 쓴맛으로 느끼는 유전자를 가진사람과

    그렇지않은사람의 유전형질이 밝혀져있는데요

    오이를 쓴맛으로 느끼는 사람의 좋지않은 경험에 의해

    자연스럽게 오이향도 심리적으로 싫어하는 분들이 있는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오이의 향에 대한 호불호는 개인차가 있으며, 이는 유전적인 요인과 경험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 오이의 향은 주로 산소와 질소가 함께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학물질인 C6H10O5이라는 컴파운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이 강하게 느껴지는 경우 개인의 미각 센서와 뇌의 처리방식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오이의 향은 새로운 맛과 향을 경험한 경험이 적은 사람들이 더 큰 반감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오이의 향에 대한 호불호는 개인적인 경험과 미각 센서의 차이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