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왜 열대지방 해안 주변 바다색은 하늘색인가요?

우리나라 동해라던가, 태평양은 대부분 짙은 푸른색을 띠는데요. 열대지역 관광지 사진을 보면 그렇지 않고 투명한 하늘색입니다. 바다색깔이 왜 다른건지 여기에 어떤 원리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동해와 태평양의 바다색이 다른 이유는 바다의 색깔은 물에 들어있는 미세한 물질의 양과 종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바다는 물이 푸른색을 띠는데 이는 물이 흡수하는 빛 중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가장 많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바다가 푸른색으로 보이는 것이죠.

      하지만 열대지역 해안 주변의 바다는 다른 색깔을 띠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열대지역의 해안은 대부분 산호초가 많이 자라있기 때문입니다. 산호초는 녹조류라는 식물이 자라는데 이 식물은 녹색 염료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산호초가 많은 해안 주변의 바다는 녹색을 띠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열대지역은 일반적으로 맑은 날씨가 많기 때문에 물에 들어있는 미세한 물질의 양이 적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물이 흡수하는 파란색 빛이 더욱 강해져서 바다가 더욱 푸른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이러한 원리로 인해 열대지역 해안 주변의 바다는 다른 지역과는 다른 아름다운 하늘색을 띠게 되는 것이죠.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의 깊이가 다르고 빛을 반사하는 성질이나 흡수, 바닷물의 온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바닷물의 색은 다르게 나타납니다

      열대지방의 바다에는 산호가 많아 비치는 물이 하늘색으로 보일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동해나 태평양은 수심이 깊고 부유물이 적기 때문에 푸른색을 띠고, 열대지역 관광지 바다는 수심이 얕고 백사장이나 산호초로 인해 빛 산란이 일어나 하늘색으로 보입니다. 즉, 수심, 부유물, 빛 산란이 바다 색깔에 영향을 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