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잠을 자려고 눈을 감았다가도 다시 눈을 뜨곤 해요.
아이가 잠에 들려고 할 때 눈이 감기는 듯 하더니 부릅 뜨고 다시 눈이 감기려고 하면 부릅 뜨고 하면서 잠에 들지 않으려고 하는데, 잠드는 게 무서워서 그런걸까요?
아이가 잠을 자려고 눈을 감았다가 눈을 뜨기를 반복하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아이의 수면 습관을 위해 수면의식을 만들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 아이가 캄캄한게 무서운 것이라면 수면유도등을 활용해도 좋겠습니다.
잠을 자기 위한 수면 의식을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매일 일정한 장소에서 일정한 시간이 되면 잘 준비를 하십시오.
잠을 자려고 누워서는 책을 한권 읽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모든 준비가 다 되었다면 집안에 있는 모든 전등을 소등하고 암막커튼 등을 이용해서 빛을 차단하는게 수면 유도에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폰, 태블릿과 같은 기기는 다른 곳에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매일 반복하다보면 아이도 익숙해질 것입니다.
전문가에 따르면 밤10시~새벽2시 사이에 성장 호르몬이 왕성하게 분비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시간 이전에는 깊은 잠에 들어가야 키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잠자는 방의 실내 온도(20~22℃) 및 습도(50~60%)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
방 안의 산소 공급을 위해서 공기청정기를 틀어놓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잠을 자려고 눈을 감았다가 다시 눈을 뜨는 이유는
다음과 같겠습니다.
심리적으로 불안함을 느껴서, 놀이가 충족되지 않아서 입니다.
심리적으로 불안함을 느낀다 라고 한다면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지는 않았는지 또는 하루 중 안 좋은 경험으로 인해서 불안해 하는 것은 아닌지 등을 점검하고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심리적인 부분을 치유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 아이가 놀이가 충족되지 않아서 잠을 자려고 하지 않는다 라고 한다면 낮 시간에 많은 에너지를 충족해 주어 놀이에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밤잠을 자야하는 시간에 잠을 안자고 버틴다 라고 한다면 단호하게 지금은 밤잠을 자야하는 시간이지 놀이를 하거나 버티는 시간이 아니야 라고 말을 해주고, 왜 밤잠을 자야하는 시간에 밤잠을 자야하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부드럽게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잠드는 것을 무서워하거나 낮의 활동으로 긴장했을 수도 있습니다. 부드러운 말로 안심시키고 따듯하고 조용한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잠드는 것을 무서워하거나 낮 동안의 자극으로 긴장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부드럽게 안심시키고,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만들어 주면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잠이 드는것을 어려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많은 노력을 해주셔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잠을 잘 때 수면 패턴을 만들어 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러한 수면 패턴을 통해서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잠이 드는게 아주 쉬워 진다고 합니다. 또한 잠이 든 후에도 아이들의 수면의 질이 높아진다고 하니 참고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잠들기 전 과도한 시청각 자극이 있다면 뇌가 흥분 상태를 유지하여 쉽게 잠들기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눈이 감겼다가도 다시 뜨는 행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다양한 이유로 잠이 안 오거나 분리 불안 등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잠을 자기 전에 격한 활동, 미디어의 영향으로 수면이 방해 되는 경우 인 것 같습니다.
잠을 자기 전에는 수면에 도움이 되는 조용한 음악 듣기나 책을 보는 활동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잠드는 것을 두려워하거나, 낮 동안의 스트레스나 경험으로 인해 마음이 편안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부모가 잠들기 전까지 다소 긴장된 분위기를 만들거나 꾸중을 한 경우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눈을뜨는것은
1.잠에대해익숙하지않음
2.자고싶지않음
으로볼수있겠네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잠드는 것을 거부하는 것은 이유가 여러 가지일 수 있어서 무서움이나 불안 때문으로 단정을 짓는 건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냥 더 깨어 있고 싶은 걸 수도 있고, 말씀처럼 무서움이나 불안으로 나타나는 증상일 수도 있어요. 아이의 잠자리 환경을 편안하게 만들어 주시는 게 필요할 듯 하고, 아이가 안심할 수 있도록 이야기를 나눠 보는 게 좋아 보여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잠드는 과정에서 눈을 감았다가 다시 뜨는 행동은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두고 잠에 대한 두려움이나 불안이 있을 수 있지만, 다른 여러 원인들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만약 최근에 잠자리나 수면 환경이 바뀌었다면, 아이는 그 변화에 적응하는 데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침대나 방, 이불 등 환경 변화가 불편함을 느끼게 하여 잠드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잠에 들기 전 수면 주기의 전환기에서 불안한 상태를 겪을 수 있습니다. 보통이 시점에서 아이는 깊은 잠에 빠지는 것을 자연스럽게 시도하지만, 자주 반응을 보이며 눈을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건 수면의 정상적인 과정이기도 하며, 아이가 자기 스스로 잠드는 방법을 배우는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잠을 자는 동안 불안해하거나 두려워하는 것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이의 걱정이나 두려움을 대화로 확인하고, 안전함을 느끼게 해주는 대화를 시도하세요. 예를 들어, "누가 네 방에 들어올까 봐 무서워?" 이러한 질문을 하시면서
아이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부모님께서 많이 도와주세요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