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밀턴프리드먼이 경기를 수도꼭지로 비유한 배경과 정확히 무슨 내용인가요

경제학가 밀터프리드면은 경기를 수도꼭지로 비유를 하였는데요

수도꼭지로 비유한 배경이 무엇인지 궁금하며 그리고 정확히 무슨 내용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프리드먼이 경기를 수도꼭지로 비유한 이유는 정부가 경기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없다는 것을 얘기하기 위해서 였습니다. 경제는 복잡한 시스템으로 정부의 의도적인 경제 정책은 예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정부의 과도한 개입은 오히려 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다고 비판합니다. 비슷한 말로 샤워실의 바보라는 표현을 썻는데 물이 뜨거워지자 수도꼭지를 돌리고 다시 물이 너무 차가워지니 수도꼭지를 반대로 돌려 다시 물이 너무 뜨거워지는 상황을 표현 한 것으로 정부가 경기를 조절하는 과정을 샤워실의 바보에 빗대어 표현한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턴 프리드먼은 경제를 수도꼭지에 비유하여, 중앙은행의 통화량 조절을 수도꼭지 틀고 잠그는 것에 비유했습니다. 그는 통화량 증가는 경제 활동을 활발하게 하지만, 과도한 조작은 경제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따라서 중앙은행은 통화량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정부의 개입은 최소화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입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밀턴프리드먼이 제기한 용어인 "샤워실의 바보"를 말씀 하시는 것으로 생각되어 관련 내용으로 설명 합니다.

    샤워실의 바보라는 용어는 샤워실에서 물을 틀 때 수도꼭지를 온수 방향으로 돌렸다가 너무 뜨거우면 다시 찬물 쪽으로 돌리고, 반대로 찬물이 나오면 뜨거운 물로 수도꼭지를 돌리는 것과 같은 형태로 경기과열이나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햐 정부가 섣부르게 시장개입을 하는것을 나타내는 용어라고 합니다.


    이런 정부의 시장 개입이 오히려 역효과를 내게 된다는 것으로 비판하기위하여 제기한 이론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프리드먼에 따르면 정부의 섣부른 경제 정책이 경기 변동 폭을 오히려 크게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경기의 고점과 저점을 판단하는 게 쉽지 않고, 설령 판단이 정확해도 정부 정책이 효과를 내기까지 오랜 시일이 필요해 적절한 시기를 놓치기 쉽다는 것입니다. 그는 불경기를 타개하기 위해 정부 지출로 총수요를 조절해 경기를 부양해야 한다는 케인스(1883∼1946)의 주장에 대해 정치적으로는 효과가 있을지 모르지만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떨어뜨려 장기적으로는 부작용을 발생시킨다고 비판합니다.

    최근 정부 정책을 두고 샤워실의 바보처럼 너무 근시안적이고 성급한 것이 아닌가 하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부동산 정책만 해도 그렇습니다.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따라 정책의 균형을 맞춰야 할 텐데, 공급은 줄게 하고 수요를 억제하는 정책을 연달아 내놓으니 수도권을 중심으로 물량 부족이 심해졌고 주택 가격이 급등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뭐든지 급하면 탈이 생깁니다. 시장의 모든 것을 정부가 조절하거나 매만질 수 있다는 생각이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지 수많은 ‘샤워실의 바보’가 입증하고 있습니다. 효율적 자원 배분과 시장 기능의 정상화를 위한다면 과거 정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밀턴 트리드먼의 수도꼭지 비유은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을을 설명 할 때 자주 사용되는 것 입니다.

    그리고 경제 정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통화정책"이라고 하면서 이를 설명 할 때 사용 하는 비유 입니다.

    여기서 수도꼭지는 통화량을 조절하는 중앙은행을 말하고 물은 바로 통화를 말합니다.

    즉 중앙은행이 수도꼭지를 열어서 돈을 너무 많이 풀면 경기가 과열되면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기 때문에 수도꼭지를 닫아서 조율해야 하고 또 반대로 경기가 너무 위축되면 불황이 찾아 올 수 있으니 꼭지를 풀어 통화를 공급해야 한다는 비유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은 별점 부탁 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밀턴 프리드먼은 시장경제체제를 옹호하는 인물로서 정부의 시장 개입에 대해 엄청나게 비판을 했었습니다.

    1970년대 성급하거나 과도한 정부의 시장 개입을 비판하며 프리드먼이 사용한 '샤워실의 바보' 이론이 있습니다.

    샤워기 물이 적정 온도가 되려면 약간의 기다림이 필요하잖아요?

    근데 이를 못 참고 수도꼭지를 좌우로 마구 돌리면 냉수나 온수만 나와 원하는 온도로 몸을 씻을 수 없게 되죠.

    그러므로 이 냉수와 온수 수도꼭지를 좌우로 마구 돌리는 것을 정부의 시장에 대한 개입이라고 비유한 것입니다.

    그냥 알아서 적정 온도가 될 때까지 내버려 두면 알아서 온도가 맞춰진다는 것을 말한 것입니다.

    결국 정부의 시장 개입에 대한 비난을 한 것으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밀턴 프리드먼은 경기를 수도꼭지에 비유하면서 정부가 경제에 개입하는 것을 신중히 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수도꼭지를 틀면 물이 나오듯 정부가 돈을 풀거나 경제를 조절하려 하면 그 효과가 나타나지만 시간차가 있습니다. 즉, 바로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지연되기 때문에 그 시점에 잘못된 결정을 내리면 오히려 경제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뜻입니다. 프리드먼은 정부가 경제를 너무 자주 개입하기보다는 신중하고 절제된 접근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의 과도한 시장 개입을 비판하며 한 비유인 '한 바보가 샤워실에 들어갔습니다. 수도꼭지를 틀었더니 샤워기에서 찬물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놀란 바보는 기다리지 못하고 뜨거운 물 쪽으로 수도꼭지를 급히 틀었습니다. 갑자기 뜨거운 물이 나오자 다시 찬물 쪽으로 수도꼭지를 돌렸습니다. 이번에는 아주 차가운 물이 쏟아져 나오자 바보는 결국 샤워실에서 뛰쳐나오고 맙니다.'라는 걸 질문하신 것 같은데요. 정책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필요한데, 정부가 그 시차를 기다리지 못하고 성급하게 대응하면 각종 부작용이 나타난다는 이야기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물의온도에 따른 대응을 경제에 대응하는 정부 정책에 빗대어 표현했습니다

    • 수도꼭지를 틀자마자 너무 차가운 물이 나와서 바로 다른쪽으로 수도꼭지를 틀었는데 바로 뜨거운물이

      나와 다시 차가운물로 방향을 트는 바보 같은 행위를 말합니다

    • 즉 정부가 현재 경제가 나쁘다고 판단하여 경제 부양에 모든 총력을 다하지만 이내 다시 뜨거워진

      경제를 식히기 위해 돈줄을 조이는 정책을 발표합니다

    • 이런 식의 극단적인 정부 개입은 경제에 건강하지 못한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음을 말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밀턴 프리드먼의 샤워실의 바보에 대한 내용입니다.

    당시 정부의 시장경제개입을 비판하면서 수도꼭지를 더운 물로, 찬 물로 돌린 것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

    이는 정부가 알지도 못한 채로 정책을 만들어서

    정책 효과도 내지 못한다는 것을 비유한 것입니다.

  • 밀턴 프리드먼은 경제학에서 통화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경기흐름을 수도꼭지에 비유했는데 수도꼭지에서 물을 공급하는 것처럼 중아은행은 경제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고 수도꼭지로 물을 조절하는 것처럼 통화량을 조절할수있다는 것을 강조한 비유입니다.

  • 밀턴 프리드먼(Milton Friedman)은 경기를 수도꼭지에 비유하면서 정부의 통화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했습니다.

    프리드먼에 따르면,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돈을 풀거나 조일 때, 이는 마치 수도꼭지를 열거나 닫는 것과 같다고 비유할 수 있습니다.

    수도꼭지를 갑자기 열면 물이 쏟아져 나오는 것처럼, 통화 공급이 급증하면 경제가 과열될 수 있고, 반대로 수도꼭지를 닫으면 경제가 침체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입니다.

    프리드먼은 이러한 비유를 통해 신중한 통화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즉, 정부가 통화 공급을 지나치게 늘리거나 줄이는 것이 아니라, 경제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조절이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밀턴 프리드먼(Milton Friedman)이 경제를 수도꼭지로 비유한 것은 그가 제안한 통화주의(Monetarism) 이론에서 나옵니다.

    프리드먼은 경제가 일정한 속도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통화 공급량을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와 관련된 비유에서 프리드먼은 중앙은행이나 정부가 경기부양을 위해 통화 공급을 조절하는 것을 수도꼭지를 돌리는 행위에 비유했습니다.

    이 비유에서 수도꼭지는 통화 공급을, 수도꼭지를 돌리는 것은 정부나 중앙은행이 통화 공급을 늘리거나 줄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수도꼭지를 너무 많이 열면 물이 너무 많이 나와서 홍수가 날 수 있듯이, 통화 공급을 너무 많이 늘리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수도꼭지를 너무 꽉 잠그면 물이 부족해지듯이, 통화 공급을 너무 줄이면 경기 침체나 디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