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경과 피검사의 차이점이 있는 건가여?
오십 초반이고 내시경은 한번도 안받아봤고 피검사는 해봤는데 피검사도 가격별로 여러 단계가 있던데 굳이 내시안하고 피검사로도 암같은종류 커버가 가능한지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혈액검사로 하는 암표지자 검사는 단독으로는 임상적 의미가 매우 낮습니다. 현재 나이를 고려하면 내시경은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내시경은 소화기관의 내면을 직접 카메라등으로 보는 것이고 피검사는 몸에 이상이 있을 때 나타나는 피수치의 반응을 확인하는 것이므로
전혀 다른 검사입니다. 내시경과 피검사는 각각 받으셔야하며 서로 커버가 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암 같은 것도 내시경으로 확인이 가능한 경우가 있고 피검사등이 필요한 경우도 있으므로 한개만 해서 나머지 검사를 커버할 수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은영 의사입니다.
스마트암 검사와 일반 검진 중 고민하시는 것 같습니다. 스마트암 검사는 혈액으로 암과 대사질환을 조기 발견할 수 방법으로 알려졌고 초기 단계로 보입니다.
내시경과 같이 위를 직접 보고 필요시 조직검사를 하는 것이 더 정확할 것같습니다
검진시 충분한 상담 후 시행하시길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전혀다른 검사이고 전혀다른내용을 보는것이므로 커버가능한부분이아닙니다.
피검사는 피검사대로 내시경은 내시경대로 준비하시는것이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연철 의사입니다.
내시경 검사의 필요성에 대해 궁금하신듯 합니다.
우리나라는 위암의 발병률이 굉장히 높은 편이고,
대장암의 발병률도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위내시경과 대장내시경의 중요성이 매우 높습니다.혈액 검사만으로 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없기 때문에,
위내시경은 2년마다 대장내시경은 5년마다 권장합니다.
(이상 여부에 따라서는 더 짧은 간격으로 검사가 필요합니다)담당 의료진과 상의하셔서 꼭 내시경 검사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간이나 췌장암, 대장암, 전립선암 등이 발병하면 피검사에서 암특이 항원성분이 올라가긴 합니다. 하지만 피검사로 수치가 높게 나오면 의심해볼수는 있지만 암을 진단하거나 확진할수는 않습니다. 암 이외에도 다양한 이유로 증가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보통 암치료 후 예후나 전이, 상태를 판단하는데 주로 사용합니다.
확진이나 선별검사는 일반적으로 내시경과 조직검사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