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이지로운블루밍618
이지로운블루밍618

아이가 잘못했을 때, 훈육을 하면 바로 울어버려서 난감합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부모로서 아이가 잘못한 행동이 있다면

훈육을 해서 바른 길로 이끌어내야 하는데요.

그런데 이때 저희 아이는 훈육을 시작할 때 바로 울어버립니다. 희한하게 아이도 무슨 느낌이 있나봅니다. 꼭 제가 훈육을 시작하면 눈물을 흘립니다... 이게 혹시 연기하는 것인가 라는 의심도 해봤는데. 하 이제는 너무 머리가 아프네요ㅠ

좋은 말로 훈육을 하려고 해도 바로 울어버리니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겠어 질문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가 훈육을 할 때 울어버리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아이를 훈육 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혹시나 아이에게 훈육을 하실 때 본인의 감정에 취해서 핵심을 먼저 말씀하시지 않고 부연설명을 길게 하시거나 과거에 있었던 일을 다시 끄집어내서 말씀하시진 않았는지 한번 되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보통 아이들은 부모님이 하는 행동이나 말에 대해서 오랫동안 기억을 해놓습니다. 상처가 되는 기억이 있거나 기억하고 싶지 않은 것들은 가슴속에 꾹꾹 눌러 담아놓게 되는데요. 바로 훈육을 하는 과정에서 그때 일들이 떠올라서 방어기제가 나오는 것일 수 있습니다. 일단 아이가 울게 되면 감정을 먼저 추스릴 수 있게 공감해주시고 다독여주신 다음에 그 다음에 훈육을 하시는게 바람직해 보입니다. 왜 그렇게 하는지 아이의 마음을 알아보실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훈육 중에 울음을 터뜨리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훈육을 할 때는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나서 잘못된 행동을 지적하고 올바른 행동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또한, 훈육을 하는 동안에는 일관된 태도를 유지해야 하며, 지나치게 엄격하거나 가혹한 처벌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마지막으로, 아이가 울음을 그치지 않을 때는 잠시 시간을 두고 진정될 때까지 기다려준 후 다시 훈육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이가 계속해서 울음을 터뜨린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오수진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계속 우는 모습을 보인다면 차분하게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주신 뒤 조금 진정이 되면 이야기를 하자라고 기다려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울음을 그쳤을 때 다시 이야기해주시는 방법으로 도와주시면 좋을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훈육을 할 때 우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첫째, 지금 이 상황을 피하고 싶어서 입니다. 즉, 지금의 상황에서 빨리 벗어나고 싶기에 울음을 터뜨리는 것입니다.

    둘째, 억울해서 입니다. 자기는 잘못이 없는 것 같은데 혼나는 것이 너무 슬프기 때문에 우는 것입니다.

    그러나 훈육 중에 아이가 운다고 해서 훈육을 멈추는 것은 아이의 잘못된 것을 바로 잡을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가 운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훈육을 하는데 우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훈육을 하는데 울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또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싶다면 울지 않고 훈육이 다 끝난 후에 언어로 조곤조곤 또박또박 언어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해야 함을 알려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머님이 훈육을 하실 때 아이가 가짜로 울음을 표현하는 것은 아닐것 같습니다. 아이가 운다는 것은 자신으 잘못을 떠나서 무섭거나 두려움에 대한 감정적인 반응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혹시나 훈육을 하실때 어머님의 태도를 한번 점검해 보시는것도 도움이 되실거에요. 훈육을 할때에는 일관된 태도를 유지하고 감정적으로 접근하시기 보다 구체적인 행동 수정과 긍정적인 대체 행동을 할 수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세요. 아이의 감정을 먼저 이해하고 공감하면서 훈육을 진행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물론 어렵습니다. 하지만 감정을 내려놓고 아이에게 잔잔하고 일관된 태도로 훈육하시는 것이 효과적이심을 기억하고 한번 시도해부시길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백지장과 같은 상태로 태어납니다. 따라서 모든 행동들이 새로운 것입니다. 따라서 이게 잘못된 행동인지 잘한 행동인지는 아무도 모른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를 부모님께서 가르쳐 주셔야 되겠습니다 .아이가 잘못된 행동이나 위험한 행동을 하시면 바로 훈육을 해주셔야 되겠습니다. 이는 아이를 위한 행동으로 울더라도 꼭 해주셔야 되겠습니다. 우리 아이가 커서 사회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해주시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훈육을 하려고 하는데 아이가 눈물을 보이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난감하지요. 하지만, 훈육은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교정하기 위해서 하는 것이므로 눈물을 보인다고 그만두면 안될 것 같습니다. 쉽지 않겠지만, 훈육을 할 때는 부모의 감정을 배제하고, 잘못된 행동에 대해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로 해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부모님께서 훈육을 한다고 하면 불안한 감정이 들거나 무서움을 느끼기 때문에 울어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이가 울음을 터뜨릴때 과도하게 반응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아이가 진정될때까지 기다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이가 진정이 되면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해주시면 좋을듯 하며 일관된 태도로서 훈육의 원칙을 설명해주고 아이가 이해할수 있도록 설명을 해주시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울어버리면 훈육을 피할수있다고 생각하여 이러한 행동을 반복하는듯 보이네요. 울면 훈육을 피할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걸 반대로생각하여 울어도 혼낼껀 깔끔하게 하고 뒤끝없게하면 이런현상도 없어질거라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우는 행동에 마음이 약해질 수는 있으나, 울 때마다 넘어가면 그걸 계속 학습하게 되어 본인에게 불리한 상황이 오거나 잘못을 했을 때 울음으로 넘기려 할 거예요. 계속 운다면 조금 진정하고 이야기하자고 말하고 과하게 달래주거나 훈육을 멈추지는 않는 게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