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
세 살던 집 보증금, 월세 문제 질문해요
계약기간 2년 종료 후 묵시적 갱신 상태라 퇴거 통보 후 3개월 이후에 유효하다고 해서 살던 집에 짐 일부를 두고 이사 나왔고 남은 기간 동안 월세를 내고 보증금은 계약 만료 후 돌려 받기로 한 상태였는데 임대인이 보증금 일부를 돌려 주고 집수리를 하겠다네요. 짐만 있을 뿐 사람이 살지 않는 상태라(짐 챙기러 가기는 해요.) 임대인이 원할 때 집에 들러 집수리를 하고 있는데 이 경우 월세도 전액 내야 하는 것이 맞나요? 짐을 모두 뺀다면 월세를 내지 않아도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성재 변호사입니다.
보증금을 만기에 전부 돌려주어야 하는데, 일부를 미리 돌려 주는 대가로 사용수익을 하지 않으나, 일단 차임 지급 의무가 있는 기간 동안을 집수리를 하는 것으로 양해를 구하여 합의가 되었다면 , 차임 상당액을 감액해달라고 할 법적 근거는 없다고 보여집니다. 원칙적으로는 차임을 전액 지급하여야 합니다. (묵시적 갱신에서 통지로 3개월 뒤 효력이 발생하는 점에서) 이는 집수리가 임대인이 해당 사용 수익을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집수리만으로 차임의 감액을 반드시 해주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임차인 입장에서도 충분히 협의는 해볼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협의를 해보시는 것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임대인이 차임을 감액 해주어야 할 법적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 역시 당사자간의 협의 후 합의 결정이 필요합니다.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