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의 보유방식에 따라 직접보유ㆍETF 투자방식 등이 있던 데 가상자산 거래소에 투자하는 것은 어떤 유형으로 봐야 할까요?
비트코인의 보유방식에 따라 직접보유ㆍETFㆍ보유기업 투자방식 등이 있던 데 가상자산 거래소에 투자하는 것은 어떤 유형으로 봐야 할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상자산 거래소에 투자하는 것은 비트코인을 직접 보유하거나 ETF에 투자하는 것과는 달리, 가상자산 거래 기업 주식에 투자하는 기업 투자 유형에 해당합니다. 이는 코인 자체를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거래소의 사업성과 수익성에 투자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비트코인 보유가 아니라 거래소 기업에 투자하는 것은 가상자산 인프라기업 투자에 해당합니다.
이는 디지털 자산을 직접 보유하는 것이 아닌 플랫폼 사업 실적에 투자하는 형태입니다.
ETF, 직접 보유와는 달리 기업 경영, 수수료 매출, 시장 점유율이 핵심 변수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민우 경제전문가입니다.
Etf는 자산들을 엮어서 상품으로 만든 주식시장에 있는 상품입니다
쉽게 설명해드리자면
금으로 비교할수 있습니다
직접 금거래소에 가셔서 금을 실제로 매입하시는것고
거래소에서 코인을 직접매수하시는것이 동일시되는것이고
주식시장에 상장되어있는 금 etf를 주식시장에서 매수하시는것과
비트코인 etf를 매수하시는것리 동일시되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가상자산 거래소에 투자하는 것은 어떤 유형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상자산 거래소는 자식 비트코틴의 투자 방식으로 보기 어렵고
가상자산 거래소라는 기업에 투자하는 형태일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질적으로 직접거래소에서 사서 보유하거나 아니면 개인지갑에서 보유하거나 ETF를 통해서 매수하는 방식이나 사실상 같은 유형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우선 현재 외국에서 상장되어있는 현물 ETF는 미국내에서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만 존재하며 홍콩쪽에선 솔라나나 일부 메이저 알트코인도 있긴합니다. 결국 이 방식은 ETF의 자본이 들어오면 전량 그 즉시 현물을 거래소에서 매수하거나 아니면 장외 거래에서 P2P형태의 거래형태로 직접 매입하여 보유하는 방식입니다. 즉 결론적으로 ETF는 투자자가 자본을 납입하면 운용사측에서 유통시장에서 직접 매입하여 보유하는 방식인것입니다.
즉 직접 매수는 중개사인 운용사가 없이 직접 매입하는것이고 ETF는 중개사가 중간에서 대신 매수해주는것일뿐 시장에서 매커니즘은 동일한 방식으로 차이가 없으며 그렇다면 ETF가 있는 이유는 미국의 금융기관들은 직접적으로 가상자산을 매입할수 없는 규정이 있다보니 ETF를 통한 매매를 통해서 가상자산에 투자하거나 보유하고 있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베이스나 서클과 같은 가상자산 거래소에 직접 투자하는 방식은 해당 기업의 주식을 사는 것이라면, ETF 투자와 유사한 간접 투자 유형입니다. 이것은 비트코인 자산 자체가 아니라 가상자산 시장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의 성장성에 베팅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만약 거래소 플랫폼을 이용해 실제로 비트코인을 구매하여 소유한다면, 이는 직접 보유 방식에 해당합니다.
가상자산 거래소에 투자한다면 가상자산 자체를 보유하는 것이 아니고 가상자산 사업을 수행하는 사업체에 투자하는 행위가 됩니다.
가상자산 관련 산업에 투자하는 형태로 이해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증시에서 코인베이스 같은 가상자산 거래소에 투자하는건 딱 말씀하신거 중에는 정답은 없겠지만 보유기업 투자방식 정도 아닐까 싶습니다 코인거래소들도 코인 많이 가지고 있거든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상자산 거래소에 투자하는 것은 직접 보유의 한 형태이지만, 개인 지갑에 직접 보관하는 '셀프 커스터디' 방식과는 달리 '위탁 보관'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비트코인 자체는 직접 구매한 것이지만, 그 비트코인의 보관 및 관리는 해당 거래소가 대신해주는 방식인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