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23.06.17

사람이 물에 뜰 수 있는 과학적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저는 수영을 못하는데 수영을 하는 사람들은 항상

가만있으면 물에 뜬다고 합니다. 이렇게 사람이 물에 뜰 수 있는 과학적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물에 뜨는 이유는 부력 때문입니다.

    물은 물에 잠긴 물체의 부피에 해당하는 물의 무게만큼 물체를 위로 밀어 올리려고 하는데, 이를 부력이라 합니다.

    사람은 몸의 70%가 물로 구성되어 있고, 나머지 30%는 물보다는 비중이 낮기 때문에 물에 뜰 수 있는 것이죠.

    다만 사람마다 체성분의 차이가 있어 모든 사람이 비슷한 부력을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몸은 70%가 물로 구성되어 있고 나머지 30%는 일반적으로 물보다 비중이 조금 낮기 때문에 사람은 물에 뜰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도는 물체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으로, 물체가 얼마나 물에 물러져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인체의 평균 밀도는 물의 밀도보다 작기 때문에 인체는 물에 뜰 수 있습니다. 즉, 인체의 전체적인 밀도가 물보다 작기 때문에 물에 뜨는 것입니다. 부력은 물체가 액체나 기체에 담긴 경우에 작용하는 상위의 힘입니다. 부력은 물체가 액체나 기체에 담겨있을 때 액체나 기체에 밀려 올라가는 힘을 의미합니다. 인체가 물에 뜨는 것은 인체의 부피가 물에 밀려 부력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부력은 물체의 부피와 액체의 밀도, 중력과 관련이 있으며, 물체의 밀도와 부력의 차이에 따라 물에 뜨는 정도가 결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물에 뜨는 이유는 부력이라는 물리 법칙 때문입니다. 부력은 물체가 액체나 기체에 의해 받는 상승력을 말하며, 이는 물체가 밀도보다 낮은 액체나 기체에 농축되어 있을 때 발생합니다.

    인체는 물보다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물에 들어가면 몸에 부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부력은 몸의 밀도와 액체의 밀도, 몸의 체적에 의해 결정됩니다. 몸의 일부가 물에 잠기면 해당 부분의 체적에 대응하는 무게의 물이 밀도가 낮아 물체를 위로 밀어 올립니다. 이로 인해 물에 뜨게 됩니다.

    또한, 인체의 공기로 채워진 폐도 부력을 발생시킵니다. 폐에 차 있는 공기는 몸의 평균 밀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물에 더욱 덜 잠기게 됩니다.

    이러한 부력의 원리로 인해 사람은 물에 뜨게 되는 것이고, 이는 수영이나 물에서 떠다닐 수 있는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