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환한토끼4
환한토끼4

냉동실에 뜨거운 물이 더 빨리

어는거를 무슨 원리라고 했던가요?

차가운 물 보다 뜨거운 물이 냉동실에서 더 빨리 언다는 소릴 들었던거 같은데 무슨 원리였는지 생각이 안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는 현상은 응고라고 부르며

      뜨거운 물이 차가운 물보

      다 더 빨리 응고하는 현상은 음펨바

      효과라고 불립니다.

      이 효과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몇 가지 가능한 원인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뜨거운 물은 차가운 물보다

      대류 효과가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뜨거운 물은 위쪽의 물이 식으면서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아래쪽의 따뜻한 물이 위쪽으로

      올라가는 순환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대류 효과는 물 전체가 고르게 식도록 도와

      냉동실에서 더 빨리 응고될 수 있도록 합니다.

      물에 용해되어 있는 기체는 응고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뜨거운 물은 차가운 물보다

      더 많은 기체를 용해시키는데 이 기체들이

      응고 과정을 방해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뜨거운 물을 끓이는 과정에서 일부 기체가

      빠져나가기 때문에 냉동실에서

      더 빨리 응고될 수 있습니다.

      차가운 물은 과냉각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과냉각은 물이 0°C 이하의 온도에서도

      액체 상태로 유지되는 현상입니다.

      과냉각 상태의 물은 불안정하며 작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급격하게 응고될 수 있습니다.

      뜨거운 물은 과냉각 현상이 발생하기 어려워

      냉동실에서 더 빨리 응고될 수 있습니다.

      음펨바 효과는 모든 상황에서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효과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뜨거운 물이 차가운 물보다

      더 빨리 응고되는 현상은 음

      펨바 효과라고 불리며 대류 효과 용해

      기체 과냉각 등의 원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이 효과는 모든 상황에서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뜨거운 물의 경우 외부에 접한 위쪽 물이 식으면서 안쪽의 물과 온도차가 커지는데요. 때문에 뜨거운 물은 차가운 물보다 대류현상이 더 활발하게 일어나 바깥으로 열을 더 빨리 빼앗긴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