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30

밤에 오줌을 싸면 소금을 얻어오라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유소유소유입니다. 어린 아이들이 자면서 오즘을 싸면 키를 뒤집어 쓴 뒤에

옆집에서 소금을 받아오라고 하잖아요. 이런 문화는 왜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23.01.30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금은 귀한 것이고 소금은 인간에게 있어서 정화작용을 합니다.

    꼭 필요한 것이기에 금 이라는 글자가 들어갑니다.

    아이에게 붙어 있는 귀신을 물리치기 위한 주술적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소변 실수를 하는 것이 몸이 허약해서 라고 생각했고,

    얻어 온 소금을 먹고 건강해지라는 의미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예전에는 소금 자체가 귀하다보니

    오줌을 잠을 자다가 싼다는 것은 몸이 허 하기 때문에

    소금을 먹고 건강히 잘 자라 라는 뜻으로 소금을 얻어 오라고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머리에 뒤집어 씌우는건 키라는 도구는

    시골에서 곡식의 잡티 걸러 낼때 쓰는 도구에요.

    오줌싸개에게 키를 씌우는 이유는 다른집에 소금구하러 갔을때 기가 약한 아이가 그집 역신을 몰고 오지 말고 걸러내고 오라는 의미에서 키를 씌웠다고 하네요

    소금은 예전부터 역귀, 역신을 몰아내는데 많이 쓰였어요.

    지금이야 야뇨증 있는 아이들 병원가서 고치면 되지만.....

    예전에는 아이들이 기가 약해서 오줌을 싼다고 생각을 했어요.

    기가 약하면 역신이나 역병이 아이에게 달라붙는다고 해서

    그역신을 쫓아 내려고 소금을 이용했다고 합니다.

    다른집에서 소금을 얻는 이유 또한 집 밖에서 역신을 털어내고 오라는 의미에서구요.


  • 안녕하세요. 이기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옛날에는 아이들이 오줌을 못 가리는 것이 귀신이 붙어서라고 생각했습니다. 소금은 부정을 물리치는 '정화'의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과거 무당이나 점쟁이들은 소금을 뿌려 잡귀를 쫓아내고 귀신들이 근처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했던 거지요. 이처럼 아이가 소금을 얻어오게 하는 것도 아이에게 붙어있는 귀신이 물러가 아이가 다시 건강해지길 바라는 주술적인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예전에는 소금이 부정한 것을 물리쳐 준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아이들이 오줌을 특별한 이유없이 가리지 못한 다는 것이 바로 귀신 때문이라고 생각 해서 귀신이나 부정한 것을 쫒기 위해서 소금을 동네를 돌며 언더 오라고 시켰다고 하네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밤에 오줌을 싸면 소금을 얻어오라고 한 것은 몸이 허하면 밤에 실수하기 쉬우니 귀한 소금을 먹고 밥도 잘 먹고 건강해져라 라는 의미가 있다고 합니다.

    또 소금은 부패를 막아주고 나쁜 기운을 몰아내는 힘이 있다고 믿는 물건으로 아이가 소금의 기운을 받아 잘 자라기를 기원하는 의미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