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를 마시면 잠이 안오는 원리가 신체에 어떤영향을 끼쳐서 그런가요?
커피를 마신 날에는 저녁에 잠을 잘 자지못하는 편입니다. 인체의 어떤 영향을 미치길레 수면을 방해하는지 궁금해요. 각성을 시키는게 어떤식으로 자극을 주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카페인은 잠드는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커피에서 발견되는 각성제입니다. 카페인은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졸음과 졸음을 유발하는 화학 물질인 아데노신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작용합니다. 커피를 마시면 커피에 들어 있는 카페인이 아데노신을 방해해 피곤함을 느끼지 않게 합니다.
카페인은 아데노신의 작용을 차단하는 것 외에도 도파민 및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다른 신경 전달 물질의 방출을 유발하여 주의력을 높이고 깨어 있게 할 수 있습니다.
카페인의 효과는 섭취 후 몇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어 어떤 사람들은 잠들거나 잠들기가 어렵습니다. 카페인 효과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은 체중, 나이, 카페인에 대한 개인의 민감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섭취하는 카페인이 몸에서 제거되는 데는 약 8~12시간이 걸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커피엔 카페인이라는 물질이 들어있어 잠을 안오게 하는 효과를 가지는데요
카페인을 마시게되면
우리몸의 중추신경계를 흥분시켜 각성되는 방식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종성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활동하는 동안 뇌에서는 아데노신이 축적됩니다. 아데노신은 중추신경을 억제하여 수면을 유도하고 피로를 느끼게 하는 물질이며 잠을 자면 아데노신이 제거돼 피로가 풀리게 됩니다.
커피를 마시면 커피에 든 카페인이 아데노신 수용체에 아데노신 대신 결합해, 졸음이 달아나게 하는 원리입니다.
피로가 쌓이게 되면 뇌에서 아데노신이라는 물질이 나옵니다.
이 아데노신은 신경세포의 아데노신 수용체와 결합을 하게 되어 피곤해지고 잠이 오게 됩니다.
그런데 카페인이 아데노신의 화학구조식과 매우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그래서 카페인이 아데노신 수용체와 결합을 하게 되는데,
카페인의 경우는 실제 아데노신이 아니기 때문에 각성하는 효과가 발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