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드라마로 제작되는 문학 작품이 많은데 문학성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나요?
최근에 82년생 김지영, 보건교사 안은영 등 문학작품이 영화, 드라마로 제작되면서
대중성과 문학성 사이의 균형이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문학의 영상화가 문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문학의 영상화는 문학의 이해와 대중적 확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좋은 작품을 섭외하여 영상작품화하면서 다시금 시청자들이 원작을 찾아 독자가 되는 변환, 확산 과정을 겪게 됩니다.
이것은 문학을 현실 속으로 가져오는 역할을 합니다.
간혹 전문가들이 대중성과 작품성을 별개의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지금의 시청자, 독자들은 그러하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그 중에 그러한 성향을 가지고 있는 시청자, 독자도 있지만 제대로 쓰여지지 않은 작품에 대해 단순히 대중적으로 관심이 있는 주제라고 하여 잠깐의 이슈는 되겠지만 꾸준히 관심을 받지는 않는다고 봅니다.
결국 대중성과 작품성은 그 정도를 맞춰가며 블랜딩 되어 가장 현실 속에서 관심을 받는 작품들이 많아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아무리 좋은 작품도 대중에서 멀어지면 좋은 작품으로 평가받지 못합니다. 더 잘 쓴 글이 더 좋은 작품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서로 보완하는 관계가 되어 시너지효과를 창출하므로 좋은 현상이라고 하겠습니다.
다만, 문학작품을 미디어화할시에는 어떤 독창성을 첨가하여 제작하는 것이 좀 더 좋겠습니다... 왜냐하면 아무리 미디어를 잘만든다고 하여도 그 원작을 대체할수가 없는데, 그렇다면 오히려 미디어화에 따른 그 나름의 독창성을 첨부하는게 좋다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애로 러시아의 대문호 Lev Tolstoy의 Anna Karenina의 경우, 러시아어 대하드라마시리즈로 제작된 미디어를 감상하면, 러일전쟁의 랴오닝반도 지역전투 장면으로 시작을 하는데, 남주캐릭터가 기병대를 운영하는 장교라는 점을 이용하여, 스토리자체에 어떤 오리지날리티를 첨가했다는 것입니다.
또한, 키이라 나이틀리가 나오는 가장유명한 영화버젼의 경우, 아주 독창적인 뮤지컬요소로 영화를 만들어 레빈의 아이스스케이팅 장면이라던지, 기병대의 전투씬 등이 정말 아기자기하면서도 새로운 예술적 감상요소를 덫붙여 참 신선했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문학의 영상화가 문학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말씀드리겠습니다.
※ 긍정적 영향
① 문학의 대중적 확장: 평소 독서를 하지 않던 사람들이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 원작을 찾아 읽게되어, 출판 시장의 활성화를 초래하고 작품과 저자의 인지도를 높여, 문학의 외연을 확장하고 새로운 독자를 유입시킴.
② 작품의 새로운 해석: 원작을 새로운 시각으로 재해석하여 작품의 겸험을 다채롭게하며, 새로운 사회적 담론을 형성할 수 있게함.
③ 시장의 활성화: 성공적인 영상화로 작가와 출판사의 이익이 증대하고, 그 결과로 작가의 안정정 창작활동의 지속과 출판사의 신인 발굴과 투자를 가능하게 함.
※ 부정적 영향
① 독자의 상상력 제한: 문학이 제공하는 상상력의 매력이 영상으로 제한되어 복합적, 철학적 사유나 세밀한 묘사가 단순화되고 평면적으로 변질될 우려 존재.
② 대중성과 상업성의 득세: 더 많은 관객을 유인하기 위해 원작의 내용을 작위적으로 바꾸거나, 자극적 요소를 부각하고 심각한 문제 제기를 완화시키는 등의 상업적 타협이 존재할 가능성.
③ 문학적 평가의 역전 현상: 영상화된 작품을 기준으로 원작을 평가하고, 영상화의 성공 여부로 원작의 작품을 평가하려는 경향 발생 가능.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