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국자감의 기능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고려는 유교정치 사상에 입각한 중앙 집권 체제를 완성시키기 위해 관리양성의 필요성에서 중앙과 지방에 학교를 세우고 교육을 장려했다고 하는데요. 고려시대 국자감의 주요 기능은 어떤게 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국자감이 지닌 주요한 기능 가운데 하나는 과거와 관련된 고시를 관장하는 것이었는데, 예종대이후 국자감에 두 가지의 선거기능이 새롭게 설치되었다.
첫째, 예종대 삼사제가 수용된 후 국자감에서 6재생들을 고예시(행예시)로 평가하고 그 성적이 우수한 자들에게 과거응시과정에서 특혜를 부여하였다. 6재생 가운데 행예시를 통해 선발된 상사생에게 과거응시과정에서 초장·중장· 종장을 연이어 시험하는 삼장연권법에서 제외되는 혜택이 주어졌는데, 이로 인해 국자감교육과 과거응시절차가 직접 연계되는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던 것이다.
국자감생이 상사생으로 선발되어 특혜를 누렸던 반면 사학생들에게는 과거에 응시하면서 고예시제도와 같은 특혜가 없었다. 사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차별을 받았다고 말할 수 있다. 인종대 사학생들 가운데 적지않은 수가 일찌기 수업받던 스승과 동료를 져버리고, 과거급제가 보다 유리한 사학으로 학적을 옮겨다녔던 것은 이와같은 사정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둘째, 인종 17년(1139) 6월 이후, 국자감에서 예부시가 끝난 다음 사학생들이 모일 때 그 모임을 주관하게 되었다. 국자감이 주관했던 사학도회는, 각 사학에서 하과 30일 동안 사시 15수 이상을 제술한 자 가운데 교도의 엄정한 심사를 거쳐 선발된 유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국자감이 주관한 사학도회에서는 사학생들을 50일 동안 습업시킨 다음 그 결과를 평가했는데, 평가시험은 과거 응시상 일정한 혜택을 주기위한 것이었다. 사학도회에서 습업을 마친 사학생이 치루었던 평가시험은 9재삭시 혹은 12도삭시라고 불리웠는데, 충숙왕대에는 9재삭시가 국자감시를 대신하였다. 사학도회는 예부시의 예비시험 기능을 담당하였던 것으로서, 국자감생에게 혜택을 부여한 고예시제에 상응하여 시행되었던 것이었다.
사학도회가 시행됨에 따라 사학자체에서 실시했던 하과는 그 중요성이 감소될 수 밖에 없었다. 하과는 사학도회에 나가기 위한 예비절차로 전락하였고, 이로 인해 사학교육의 특징 가운데 하나였던 하과가 국자감의 예속하에 놓이게 되어 사학의 교육기능은 전과 달리 약화될 수 밖에 없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국자감에서 과거응시절차의 한 단계로서 기능한 사학도회를 주관했던 것은 사학의 과거준비기능까지 국자감이 관리하게 되었음을 말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고려중기 이후 국자감에서 상사생을 선발하고 사학도회를 주관하게 됨에 따라 사학이 지녔던 특유의 교육기능과 과거준비기능은 약화되거나 혹은 국자감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고 이해해도 좋을 것이다. 사학운영은 국자감에 포섭되어갔던 것이다.
출처 - 지식백과 국자감
고려 때의 고등교육기관.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개설되어 유교의 경전을 주로 공부했으며, 3년간 재학하면 과거에 응시할 수 있게 했다. 신라의 국학(國學)을 이은 국립대학이었으며, 조선의 성균관(成均館)으로 이어지는 당대 최고의 교육기관이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입니다.
✅️ 고려 최고의 교육기관이 국자감이었는데(* 오늘 날의 서울대학교이죠.), 사실상 입학할 수 있는 곳마다 관직의 기준을 두어 문벌귀족사회를 보다 두텁게 하는 역할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실상 '학벌사회'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였었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자감은 1275년(충렬왕 1)에 국학(國學)으로 개칭되었다가 1298년(충렬왕24)에 충선왕(忠宣王)이 즉위하여 성균감(成均監)으로 바꾸었고, 1308년(충렬왕 34)에 충선왕이 다시 즉위하여 성균관(成均館)으로 개칭하였습니다. 그 후에도 몇 차례 명칭이 변경되었지만, 성균관의 명칭은 조선으로 이어졌습니다.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고려시대의 국자감은 현재의 대학에 해당하는 기관으로, 당시의 중요한 관리들을 양성하는 역할을 수행하였습니다. 중요한 기능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교육: 국자감은 국가의 중요한 관리들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습니다. 유학을 통해 국가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능력을 학생들에게 가르쳤습니다. 이에는 고시에 대비한 공부뿐만 아니라 유교적 도덕과 기본적인 행동규범 등도 포함되었습니다.
연구: 국자감은 학문의 중심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였습니다. 당시의 세계관, 사상, 문학, 역사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가 이루어졌습니다. 이를 통해 학문의 발전에 기여하였습니다.
고시: 국자감은 고시 시험을 주관하는 역할도 수행하였습니다. 이는 국가의 중요한 관리들을 선발하는 수단이었습니다. 고시를 통해 우수한 인재들을 발굴하여 국가의 관리로 임명하였습니다.
사서 역할: 국자감은 당시의 중요한 문서나 기록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역할도 수행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나중의 세대에 중요한 역사적 사실이나 지식을 전달하는데 기여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고려시대의 국자감은 당시 국가의 중심적인 교육과 연구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습니다. 이는 그 당시의 사회, 문화,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성종이 관료로 선발할 인재를 교육하기 위하여 개경에 설치한 최고 교육기관입니다. 문종은 국자감을 유학부와 기술학부로 구성된 종합대학으로 만들었습니다. 예종이 7재를 설치하면서 유학 교육이 활성화되었고 과거와 연동되어 우수한 학생은 과거 응시에 특혜를 받았다고 합니다. 국자학에는 3품 이상, 태학에는 5품 이상, 사문학에는 7품 이상의 자손과 서인이 입학할 수 있었고, 전문 학과인 잡학 3부(율학, 산학, 서학)에는 모두 8품 이하의 자제와 서인(庶人)이 입학할 수 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국자감 ( 國 子 監 ) 고려시대, 성종이 관료로 선발할 인재를 교육하기 위하여 개경에 설치한 최고 교육기관. 국자감은 고려시대 성종이 관료로 선발할 인재를 교육하기 위하여 개경에 설치한 최고 교육기관이다. 문종은 국자감을 유학부와 기술학부로 구성된 종합대학으로 만들었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