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중독증 피검사시 내과에서 무슨검사해달라고 요청해야되나요?
임신중독증 위험여부 따른 사전 피검사는 예를들어 백혈구 수치? 라든지 혈소판이라든지 어떤검사 가 이뤄지는지 궁금합니다. 가까운 내과에서 다른검진시 추가로도 받을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임신중독증, 즉 임신 중 고혈압 질환에 대한 피검사에 대해서 궁금해하시는군요. 내과에서 임신중독증에 관한 검사를 요청하실 때는 몇 가지 주요 항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임신중독증 검사에는 혈액검사가 포함되며, 이는 임신 관련 고혈압과 관련된 다양한 요소를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먼저, 혈액 내 전해질 수치를 체크하여 체내 전해질 균형을 확인하게 됩니다. 그리고 신기능 평가를 위해 혈액 요소 질소(BUN)와 크레아티닌 수치도 필수적입니다. 간 기능도 중요하기 때문에 간 효소 수치를 측정하여 간 기능을 확인합니다. 조혈 상태를 이해하기 위해 혈소판 수치도 검토되며, 이는 혈액 응고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백혈구 수치를 체크하여 감염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말씀하신 대로 가까운 병원에서 추가 검진을 계획하신다면, 이러한 항목들을 포함시켜 요청하시는 것이 적절할 것입니다. 그러나 병원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방문하시는 병원의 전문의와 충분히 상의하여 결정하시는 것이 최선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임신중독증 위험여부 따른 사전 피검사는 예를들어 백혈구 수치? 라든지 혈소판이라든지 어떤검사 가 이뤄지는지 궁금합니다. 가까운 내과에서 다른검진시 추가로도 받을려고 합니다. 이 점이 궁금하셨군요
임신중독증은 산부인과 질환입니다. 내과 건강검진에서 이에 대해서 검사를 받으셨다고 가정을 하더라도
그에 대한 평가를 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입니다. (그러니까 예를 들어 진단기준에 단백뇨가 있는데 내과에서 단백뇨 여부를 알려줄 수는 있어도 환자분의 질문 그러니까 "단백뇨가 없으니까 임신중독증은 아닌거죠?" 혹은 "단백뇨가 있으니까 임신중독증 가능성이 있는 것인가요?" 같은 질문에는 답을 못하는 것이죠) 즉 내과에서 검사를 받으시더라도 결국 해당검사를 산부인과고 가지고 가서 진료를 보시던가 아니면 환자분이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자의적으로 판단을 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임신중독증에 대해서 확인하시고 싶으시면 산부인과를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임신중독증 진단기준을 첨부합니다
Research and Reports in Neonatology 2015:5 79–89
혈압, 단백뇨, 혈소판감소, 신기능 장애, 간기능 장애, 폐부종, 신경증상
(필요한 검사는 혈압측정 소변검사, 혈소판검사(CBC), 간기능검사, 신장기능검사 정도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