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

인간의 노화와 텔로미어는 무슨 관련이 있나요?

인간은 누구나 시간이 지나면서

나이를 먹고 노화 과정이 일어납니다

인간의 노화는 염색체 텔로미러와 무슨 관련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세포가 분열을 할때 마다 텔로미어 길이는 짧아집니다. 텔로미어가 짧아지다가 노화점 이하로 떨어지면, 세포 분열이 멈춥니다. 감사합니다.

  • 텔로미어는 염색체 끝부분에 위치한 DNA 반복 서열로, 염색체가 손상되는 것을 막아 세포가 정상적으로 기능하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텔로미어는 조금씩 짧아집니다. 그리고 텔로미어가 일정 길이 이하로 짧아지면 세포는 더 이상 분열하지 못하고 노화하거나 죽게 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텔로미어가 짧아지는 것은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텔로미어가 짧아질수록 세포는 손상되기 쉽고, 조직의 기능이 저하되어 노화가 진행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텔로미어는 염색체의 말단에 위치한 특정한 염거서열이 반복되어 이어진 구조입니다.

    세포가 분열 할 때 유전자를 복제해야 하는데

    DNA를 복제하는 원리 때문에 끝부분이 완전히 복사되지 않고 조금씩 유실됩니다.

    어떤 형질을 암호화하고 있는 DNA서열이 유실되면 안되기 때문에

    아무런 형질을 암호하하지 않는 텔로미어가 서열의 끝부분에 위치해 대신 유실됩니다.

    그 결과 세포 분열 횟수가 늘어날 수록 텔로미어가 짧아집니다.

    텔로미어가 대부분 소실되면 세포는 더이상 분열할 수 없습니다.

    이로인해 여러가지 노화의 현상이 일어납니다.

    특정 세포는 텔로미어를 다시 늘릴 수 있는 효소를 많이 갖기도 합니다.

    이 효소를 '텔로머라아제'라고 하는데 줄기세포 처럼 무한정 분열할 수 있는 세포에서 많이 발현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

    염색체의 예비영역입니다. 해당 부분에서는 주력 유전자(DNA)의 전사가 일어나지 않지만, 유전자가 끊임없이 전사하고 복제하는 과정에서 해당 영역이 조금씩 소실되어 종국에는 텔로미어가 모두 소실되어, 전사되어야 할 유전자 영역까지 파괴가 되기 시작하는데, 이 때부터 의도치 않은 단백질이 합성되기 시작하여 암이나 치매 등 노인성 질환이 발병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인간의 노화는 염색체의 텔로머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텔로머는 염색체의 끝단에 위치한 DNA 구조물입니다. 텔로머는 염색체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셀 분열과 세포 죽음 등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세포는 일정 횟수 이상 분열하면 텔로머 길이가 점점 짧아지게 되고, 이는 세포 노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즉, 텔로머의 길이가 짧아지면 세포 분열 능력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인간의 노화가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텔로미어'란 염색체 말단에 존재하는 반복적인 염기서열을 말합니다. 세포분열은 할 때마다 DNA 중합효소가 염색체 말단을 복제하지 못하는 한계로 인하여 조금씩 짧아지는데요, 이때 텔로미어는 염색체의 중요한 유전 정보를 대신하여 사라지는 보호막 역할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50~60번 정도 세포분열이 진행되면 텔로미어 길이가 일정 수준 이하로 짧아지게 되고 세포는 분열을 멈추는 세포 노화 상태로 들어가게 되는 것입니다.

  • 인간의 노화는 염색체의 말단을 보호하는 텔로미어와 관련이 있습니다. 텔로미어는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점점 짧아지며, 일정 길이 이하로 짧아지면 세포는 더 이상 분열하지 못하고 노화가 시작됩니다. 이는 세포의 복제 한계를 설정하고, 세포가 무한정 분열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텔로미어의 길이는 인간의 노화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