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불안정은 왜 일어나나요.
뉴스에 대기불안정이란 말이 자주나와서 궁금해서 질문합니다.
어떤 현상인지 장점이나 단점은 무엇인지 알고싶네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덩어리가 상승할 때의 기온감률보다 대기의 고도에 따른 기온감률이 더 클 때 공기덩어리는 계속해서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공기가 상승하기 쉬운 상태를 '대기가 불안정하다'라고 표현합니다.
이러한 상승 기류는 태양에너지를 더 많이 축적하고 많은에너지를 상공에 쌓아갑니다.
즉, 폭우나 태풍과 같은 기상현상을 유도합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이영훈 세무사입니다.
찬 공기는 가라앉고, 뜨거운 공기는 위로 뜨는 것이 안정합니다. 왜냐하면 뜨거운 공기가 찬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입니다.(밀도 차이)
그러나, 지형에 따라, 간혹 찬 공기가 위에 있고, 뜨거운 공기가 아래에 배치되는 환경이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이 경우 찬 공기는 아래로 움직이려고 하고, 뜨거운 공기는 위로 움직이려고 하면서,
공기의 움직임도 커지고, 상승기류를 동반하고, 두 공기가 만나 비를 내리기도 하고, 심하면 천둥, 번개를 동반하기도 합니다.
즉, 불안정한 대기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단점은 이런 지역에서 폭풍이 치거나, 많은 비로 수해가 날 수 있습니다.
장점은 이런 불안정한 대기가 더운 지역의 온도를 낮추거나, 오염된 대기 환경을 치우는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이런 대기 역전 현상이 없다면, 뜨거운 공기는 위에, 찬 공기는 아래 있으면서 오염 물질이 아래 쌓여 스모그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 우리나라 대기가 질이 좋이 않은 이유가 이 때문입니다.
대기가 불안정한 것은 자연 현상의 하나 입니다.
따뜻한 공기가 아래에 있고, 찬 공기가 위에 있을 때, 기온차가 클수록 대기가 불안정해집니다.
대기가 안정되려면 찬 공기는 아래로 가려고 하고 따뜻한 공기는 위로 가려고 하기 때문에
극심한 환경 변화가 생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