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한국에서도 일어날 수 있지 않을까요?
경제 관련 책을 읽다가 신용불량자들에게 부동산을 살 수 있게끔 대출해주다가 버블이 터져버린건데
현재 한국도 부동산이 말도 안되게 최고점을 찍은 상태지 않습니까. 그래서 미국과 같이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리거나 가계대출이 많은 서민이 많아져서 견디다 못해 부채가 터져버릴 수도 있다고 생각해서요.
경제 전문가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와 지금의 부동산가격에는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찌보면 금융권의 부실대출인데 모기지사태는 대출이 불가능한,즉 신용도가 낮은 사람들에게 대출을 주고 그에 따른 금리도 높은가격에 측정이되었습니다. 대출에 대한 LTV나,DSR 정책등과 대출조건등을 확인하기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현재 서울 지역의 경우 LTV 한도가 40%~50% 수준으로, 집값이 절반으로 떨어지지 않는 한 금융 회사의 파산 가능성이 작아 현재 우리나라에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같은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은 저소득, 저자산가들이 주택을 마련할 수 있는 제도이기 때문입니다. 시장 상황이 개선되는 경우 현재보다 규제를 완화해 주거 복지에 이바지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