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의연한쿠스쿠스265
의연한쿠스쿠스26522.09.23

한국 금리는 얼마나 올릴까요?

미국 및 여러 나라들이 금리를 올렸는데 한국은 미국과 같은 수준으로 올릴까요? 아니면 그 보다 크게 올릴 가능성이 어느 정도 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과의 금리 격차로 인해서 환율이 급등하고 있는 상황이라서 금리를 완만하게 상승시킬 수는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미국금리는 3.25%이며, 한국금리는 2.5%인 상태에서 두 나라 모두 2번의 금리인상에 대한 회의가 남아있는 상태입니다.

    미국의 경우는 연말까지 4.5%이상의 금리를 이야기한 상태라 우리나라가 환율 방어를 위해서 미국의 금리인상을 쫓아갈 수 있는 한도 범위는 1번에 0.75%를 맥스로 두고생각한다면 최대 1.25%로 가정할 수 있는데요. 그렇게 되면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는 0.75%가 되며 환율은 1,500원정도를 예상할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했을 때 우리나라의 연말 금리는 3.5%에서 3.75% 수준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환율방어와 부채리스크 절충)

    좋은하루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미국과 같은 수준으로

    금리를 인상하고 싶겠지만

    가계부채에 대한 부담감이 미국보다 훨씬 더 크기 때문에

    한은에서는 빅스텝 정도의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보이나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이번 연준의 금리인상이 0.75%인상을 하면서 금리역전차가 발생하였는데 우리나라도 이에 대응하기위해서 한국은행도 이번에 금리인상은 불가피한데 0.5%정도 예상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난 주 기준으로 한국과 미국의 기준 금리는 2.5%로 갔았습니다. 그러나 금주 미연준은 0.75%의 자이언트 스텝급의 금리 인상을 단행하며 단번에 3.25%로 금리를 끌어 올렸습니다. 단기, 중장기 금리에 대한 19명의 연준 의원들의 예측치를 표시한 점도표도 한층 상향 조정되어 11월초, 12월 중순 남은 2번의 FOMC 회의 때 추가 금리를 인상하여 4% 초반 내외의 기준 금리로 올해 마감할 예상입니다.

    한국의 경우 미국 기준 금리와의 격차를 방치할 수 없습니다. 원화 환율이 급등 추세라 금리 격차가 커질 수록 환율 상승 압박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처럼 3번 연속으로 0.75% 인상하여 2.5% 금리를 4.25%로 인상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한국 특유의 금융 현황 때문입니다. 담보대출과 신용대출 규모가 워낙 커서 짧은 시간 안에 급격한 금리 인상은 쉽지 않습니다.

    다음달 한국은행 금통위 회의에서 0.5% 내외 금리 인상이 예상되며 0.25%씩 지속적으로 인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