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거래소 상장시 탈중앙화 거래소와 중앙화 거래소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암호화폐 거래소 상장시 탈중앙화 거래소와 중앙화 거래소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우리나라에서 탈중앙화 거래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업비트나 빗썸 코인원 바이낸스 이런거래소는 중앙화거래소입니다 말 그대로 해당 기업이 통제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중앙화거래소라고 합니다.
탈중앙화거래소는 직접적으로 실체가 없고 해당거래소에 입금을 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우선 메타마스크나 팬텀 래비우월렛등의 별도의 수많은 암호와폐 지갑에 가상자산을 입금시켜 보유하고 해당 지갑을 탈중앙화거래소인 디앱이나 플랫폼에 연결한후 해당 지갑내에서 보유한 지갑을 서명해서 연결 후 스왑방식으로 진행되는것입니다. 대표적으로 유니스왑이나 쥬피터와 같은게 탈중앙화거래소입니다.
국내에서도 클레이스왑이라는게 디파이이자 탈중앙화거래소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탈중앙화 거래소와 중앙화 거래소의 차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중앙화 거래소는 특정 기업이 운영하는 것으로
중앙집권적 방식으로 접근성이 높고 유동성이 좋습니다.
이에 비해서 탈중앙화 거래소는 P2P 거래를 지원하는 곳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자산을 직접 관리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거래소 얘기 나오면 헷갈리기 쉬운데요. 중앙화 거래소는 흔히 우리가 쓰는 업비트나 빗썸 같은 곳입니다. 회사가 운영 주체로 있고 회원 가입도 하고 원화 입출금도 가능하죠. 그래서 보안이나 고객센터 같은 게 체계적으로 붙어 있습니다. 반대로 탈중앙화 거래소는 중간에 운영 주체가 딱히 없습니다. 그냥 블록체인 위에서 자동으로 스마트컨트랙트가 거래를 중개하는 방식이라 생각하면 편합니다. 회원 가입도 없고 본인 지갑만 있으면 바로 연결해서 거래하는 구조라 익명성은 강하지만 불편한 점도 많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탈중앙화 거래소 자체가 크게 자리 잡고 있진 않습니다. 이용하려면 보통 해외 기반의 DEX를 지갑으로 접속해서 쓰는 게 일반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중앙화 거래소는 특정 회사가 운영하며, 모든 사용자 데이터와 거래 기록이 단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데, 편의성과 높은 유동성을 제공하지만, 해킹이나 사기의 위험에 취약하고, 회사의 정책에 따라 서비스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또한 KYC/AML 규정 준수를 위해 개인 정보 제공이 필수적인데요. 하지만 탈중앙화 거래소는 거래소는 중앙 관리자가 없고, 사용자 데이터와 거래 기록이 여러 서버에 분산 저장됩니다. 때문에 보안성과 개인 정보 보호에 유리하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복잡하고, 거래 속도가 느릴 수 있으며, 유동성이 중앙화 거래소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익명성이 높지만, 스마트 컨트랙트의 취약성으로 인한 손실 위험도 높고, 가스비(전송수수료)도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