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마다 우선주가 하나씩 있더라구요 그런데 우선주가 3개씩 있는 회사는 왜 그런건가
우리나라 대표주식 삼성전자 인데요 삼성전자 같은 경우는 우선주가 삼성전자 우 하나밖에 없는것 같습니다 그런데 현대자동차 같은 경우는 우선주가 여러개 있더라구요 왜 이렇게 많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회사에서의 우선주의 경우 주주총회 등의 의결권이 없는 주식으로 의결권이 없지만 대신 발행되는 주식의 수가 적어 호재가 있을떄 주가가 더 쉽게 오르기도 합니다. 다만 이러한 우선주가 우선주a, 우선주b, 우선주c 등으로 여러개가 있다는 것은 우선주를 발행한 조건이나 시기가 달랐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그 내용을 구분하기 위해 a, b, c나 숫자 등으로 구분을 했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주가 한두 개만 있는 줄 알았다가 현대차 보면 깜짝 놀라게 됩니다. 사실 우선주라는 게 배당을 조금 더 챙겨주거나 의결권을 제한하는 식으로 조건이 붙은 주식인데요. 기업이 자금 조달을 할 때 상황에 맞춰 여러 종류로 발행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어떤 회사는 단일 우선주만 두지만 현대차처럼 시기별로 조건이 다른 우선주를 내놓다 보니 여러 종목으로 남아 있는 겁니다. 삼성전자는 단일 우선주만 발행해서 깔끔한 편이고 현대차는 구형 신형 나뉘듯 우선주 종류가 쌓여서 다양해진 걸로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 같은 경우 단일 우선주 상황을 유지하면서 안정적 주주구성을 가지고 가고 싶어 하는데, 현대자동차 같은 경우 여러종류로 나누어 다양한 투자자의 요구에 반응하고, 경영권 방어 등 복합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우선주의 종류는 각각의 기업의 전략과 상황에 따라 다르고 반드시 많고 적음으로 좋다 나쁘다가 나뉘는 것은 아니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같은 회사에 우선주 종류가 많은 이유는 자본 조달 목적, 투자자 요구, 회사의 재무 및 경영 전략 등 다양한 필요에 따라 각기 다른 조건이 우선주를 여러 차례 걸쳐 발행하기 때문입니다.
1) 자본 조달의 유연성 및 상황별 맞춤 발행
배당률, 상환/전환 조건, 의결권, 만기 등 조건이 다른 우선주를 각각 별도로 설계해 발행
2) 투자자 요구 및 시장 변화 대응
기관, 전략적 투자자, 해외 자본 등 다양한 투자자의 요구에 맞춘 각각의 우선주가 별도 스리즈로 발행
참가적 우선주, 상환우선주, 전환우선주, 상환전환우선주 등 투자 성향에 따라 다양한 구조가 필요
3) 회사 재무전략 및 지배구조 고려
기존 대주주, 경영권 방어, 신사업 투자, 채무 조정, 주식 전환 안정성 확보 등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주도 배당우선주, 상환우선주, 전환우선주 등 종류가 꽤 있습니다 현대차 같은 경우는 배당우선주인데 우선주 3개가 최저배당율이 다 틀려서 3가지 종류로 발행된걸로 알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선주가 여러개 있는 곳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나라에선 대표적으로 현대차가 우선주들이 많이 있는데
이렇게 우선주가 많다는 것은 다름이 아니라
자금 조달을 더 하기 위해서 우선주를 더 발행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주가 여러개인 이유는 발행시점, 조건, 권리 차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현대차처럼 다양한 우선주가 존재하는 것은 자금 조달 과정에서 여러 형태로 발행했기 때문입니다. 각 우선주는 배당, 의결권 등 권리 구조가 달라 구분되어 상장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주는 회사가 정관에 정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발행할 수 있어서 어떤 기업은 한 종류만 두기도 하고, 어떤 기업은 여러 종류를 동시에 운영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는 의결권 없는 배당우선주 하나만 두고 있지만 현대차는 배당 조건이나 상환 조건이 서로 다른 우선주를 과거 자금 조달 과정에서 여러 차례 발행했습니다. 그래서 보통주 하나에 우선주 여러 개가 붙어 있는 경우가 생기는 겁니다. 결국 회사가 필요할 때마다 투자자 수요나 자금 상황에 맞춰 우선주 조건을 달리해 발행한 결과라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의 우선주 개수가 다른 것은 발행 시기와 발행 목적이 달랐기때문입니다.
현대자동차는 현대 현대차우, 현대차2우B, 현대차3우B 세종류의 우선주가 있습니다. 이렇게 여러개의 우선주를 발행한 것은 기업의 재무 상황이 좋지 않았던 특정 시기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목적이 컸습니다.
현대차우: 가장 먼저 발행된 우선주로, 통상적인 우선주의 성격을 가집니다.
현대차2우B, 현대차3우B: 이 두 우선주는 IMF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에 부채비율을 낮추고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발행되었습니다.
기업은 보통 의결권을 포기하는 대신 더 높은 배당을 원하는 투자자를 유치하여 안정적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경영권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우선주를 발행합니다.
현대자동차처럼 특정 시기의 재무 상황이나 자금 조달 목적에 따라 다른 조건을 붙여 여러 종류의 우선주를 발행할 수 있습니다. 각 우선주는 발행 시기, 배당률, 상환 및 전환 조건 등이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대자동차의 우선주 종류가 많은 것은 과거 회사의 특수한 상황을 반영한 결과이며 삼성전자는 안정적인 경영 상황을 유지해왔기 때문에 하나의 우선주만 발행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주의 경우는 발행시기와 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고, 또한 의결권 유무, 배당률, 상환조건 등을 다르게 설정하여 우선주를 발행할 수 있어 우선주도 종류가 다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 기업이 여러개의 우선주를 발행하는 이유는 회사가 자금 조달을 위해 여러 시점에 걸쳐 우선주를 발행하면서, 당시의 시장 상황이나 회사의 필요에 따라 다른 이자율, 상환 조건, 전환 조건 등을 부여하기 위함입니다. 마치 은행이 다양한 조건의 예금 상품을 내놓는 것처럼, 각기 다른 조건과 권리를 가진 우선주들을 통해 특정 목적의 자금을 조달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