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아이가 너무 빨리 성숙해지는거 같은데 어떻게 하죠?

아이가 너무 빨리 성숙해지는것 같은데 이를 어떻게 다룰 수 있을까요? 아이가 성숙해지니까 말하는 것과 행동도 조심스러워 집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송신애 유치원 교사
    송신애 유치원 교사
    누리유치원

    아이의 성숙함에 따라서 어떻게 말하고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먼저 이 시기를 지나온 어른으로써 아이의 어쩔 수 없는 마음을 충분히 공감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사춘기가 온 아이는 제2차 성징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의 몸으로 변해 갑니다.

    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이 생깁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됩니다.

    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겨울잠을 자러 들어간 곰이라고 생각하고 새봄에 동굴로 나올때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

    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아이는 간섭한다고 생각하여 서로간의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이해하고 공감해준다면 아이도 마음을 열고 대화를 하려 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성숙해 진다 라는 것은

    아이가 그만큼 성장하고 있다 라는 것입니다.

    즉, 어른으로써 커나가는 과정을 밟고 있다 라는 것이기 때문에 아이의 성장을 가로 막아서는 안됩니다.

    아이가 성숙하고 성장 한다 라고 해서 이 순간만 부모님이 말과 행동을 조심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어릴 적 부터 모든 행동과 언어를 조심하는 것이 습관화 되어야 합니다.

    부모는 아이의 거울 입니다. 아이는 어릴 때 부터 부모님의 모든 행동과 언어로 학습을 하고 그 학습한 내용을 스펀지처럼 흡수하여 그대로 모방을 하기 때문에 아이가 어릴 때 부터 아이가 성장할 때 까지 늘 언어와 행동을 조심하는 것을 인지 하셔야 합니다.

    현재 어른으로써 성장하는 시기인 만큼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잘 돌보면서 대화적인 소통을 하는 것이 아이와 관계를 좁히고 아이의 스트레스 해소를 줄여주는데 많은 도움이 되어지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먼저, 아이의 성숙함을 무조건적으로 억제하려하지말고, 아이가 느끼는 감정이나 생각을 존중하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성숙하게 행동하는 아이에게 너무 빨리 어른처럼 대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도 그 성숙함을 인정하고 대화를 통해서 서로의 생각을 나누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서 아이가 너무 조심스럽고 어른스러운 말을 할때 "너무 성숙하게 행동하는것도좋지만 아직 어린이로서즐길 수 있는 것도 많아 가끔은 조금더 자유롭게 지내도 돼"라고 마랗면서 아이가 나이에 맞는 감정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감정적으로 너무 빨리 성숙해지면 그 감정을 다룰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어른처럼 행동할떄 그 감정을 어떻게 처리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지나치게 성숙한 감정 표현이 그로 인해 오는 스트레스나 부담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돕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성숙은 긍정적이지만 적절한 시기에 맞는 지지와 관심이 중요합니다. 감정을 이해하고 대화를 통해 마음을 열어줍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