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기 단축시간 근무시 회사 급여 계산 방법
안녕하세요.
육아기 단축시간 근무 관련하여 회사에서 급여 산출시 방법 관련하여 문의 드립니다.
1350 확인결과 비례식으로 계산하면 된다고 답변 받았습니다.
계산식: 통상임금*(40/실제 주 근무시간) = 지급액
해당 방식으로 근무 계산을 해주는게 맞는지?
아니면 실제 일한 시간(2시간 단축근무 했을시)만 반영하는게 맞는지?
└일 2시간분 제외 일 6시간분에 대한 월급지급이 맞는지
문의 드리며 아울러 고용노동부 산식 자료가 있다면 공유해 주시면 감사 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
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
[질의]
계산식: 통상임금*(40/실제 주 근무시간) = 지급액
해당 방식으로 근무 계산을 해주는게 맞는지?
아니면 실제 일한 시간(2시간 단축근무 했을시)만 반영하는게 맞는지?
└일 2시간분 제외 일 6시간분에 대한 월급지급이 맞는지
[답변]
'단축 후'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지급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즉, 실제 1주에 근로한 시간에 통상임금을 곱한 금액을 지급하시면 됩니다.
관련한 자료는 고용노동부에서 배포한 근로시간 단축제도 가이드북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액은 "매주 최초5시간분 {통상임금의 100%(상한액 200만원, 하한액 50만원) × 5 / 단축 전 소정근로시간} + 나머지 근로시간단축분 {통상임금의 80%(상한액 150만원, 하한액 50만원) × (단축 전 소정근로시간 - 단축 후 소정근로시간 - 5) / 단축 전 소정근로시간}"으로 산정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이 실제 근로시간 단축을 전제로 하기 떄문에
결국 양자가 같은 것이 아닐까요.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정확한 사정은 모르겟지만 8시간에서 6시간으로 단축하는 경우 6시간으로 다시 계산을 하여 임금을 지급하시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월급여 x 6/8)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