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미중 무역 갈등에 대비한 한국의 전략은 어떠한가요?

미중 무역 갈등이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은 단순한 관세 문제를 넘어 기술 패권과 국가 안보까지 연결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어떤 전략으로 대응해야 할까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는 미국으로의 수출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라 관세정책에 따른 큰 피해가 예상됩니다.

    다만, 한국은 여전히 다른 국가로의 수출에서도 경쟁력을 가지고 있고, 미국의 관세정책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를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국가간 차이가 크게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미중경제, 안보 양축과 균형을 유지하여야 할 것입니다.

    고부가가치 물품에 대한 기술력 강화, 다른 국가로의 수출다변화 전략 등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사실 이에 대하여는 우리나라가 크게 할 수 있는 부분이 없습니다. 다만, 가능하다면 미국측에 서서 중국을 버리지 않는 쪽으로 대처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중국이 거대한 국가인 것은 맞지만 여전히 세계의 패권국은 미국이며 따라서 미국편에 서는 것이 더 실익이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한국은 양자택일보다 선택적 결합이 맞습니다. 대중 의존 부품은 베트남 인도 멕시코로 조달망을 쪼개고, 반도체 배터리 소재는 미국 유럽과 공동 투자로 우군을 늘립니다. 중국은 로컬 생산과 비규제 품목으로 방어, 공급망 금융과 데이터 가시성으로 리스크를 수치화하고 준수 체계를 내재화해 조사에도 흔들리지 않게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중 갈등은 단순히 수출입에 세금이 붙는 수준이 아니라 공급망 구조를 갈아엎는 흐름에 가깝습니다. 우리나라는 반도체와 배터리처럼 미중 모두와 얽힌 산업이 많아서 어느 한쪽에 치우치면 다른 쪽 제재에 바로 노출됩니다. 그래서 실무에서는 특정 지역 의존도를 줄이는 다변화 전략이 핵심으로 거론됩니다. 생산 거점을 동남아나 인도 등으로 분산하고 핵심 소재는 미국이나 유럽 공급선으로 바꾸는 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