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낙지는 잘려도 어떻게 움직이나요?
안녕하세요.
산낙지를 탕탕이로 엄청나게 잘라도 낙지 다리는 계속 꿈틀꿈틀 거리잖아요.
어떻게해서 계속 움직일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낙지와 같은 문어류는 매우 복잡한 신경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 상당 부분이 다리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낙지 다리의 신경계는 중앙 뇌에서 독립적으로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낙지의 뇌와 다리 사이에는 매우 분산된 제어 메커니즘이 있어서 다리가 몸통으로부터 분리된 후에도 독립적으로 반응을 할 수 있습니다.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낙지는 문어처럼 뇌가 모든 역할을 하지 않고 다리의 독립된 신경이 다리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낙지 다리를 잘라도 다리의 신경이 한동안 살아서 꿈틀거리며 자극에 반응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낙지의 신경계는 분산되어 있어서 일부분이 손상되어도 다른 부분이 움직일 수 있습니다. 또한, 낙지의 근육은 자체적으로 수축하는 능력이 있어서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일 수 있습니다.
산낙지가 잘려도 계속 움직이는 이유는 낙지의 독특한 신경계 구조 때문입니다. 낙지의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가 분리되어 있어, 중추신경계가 손상되지 않는 한 신체 각 부위의 근육이 자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즉, 낙지의 다리와 몸통은 독립적인 신경망을 가지고 있어, 일부가 잘려나가도 절단된 부위에 남아있는 말초신경이 수축과 이완을 계속 일으키므로 꿈틀거리는 모습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러한 낙지의 독특한 신경계 구조는 포식자로부터 자신의 일부를 잃어도 생존할 수 있게 하는 진화적 적응 메커니즘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산낙지를 자르더라도 다리가 움직이는 이유는 낙지의 신경분포가 뇌-신경계-다리근육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낙지는 뇌가 있지만, 뇌 중심 동물이 아니라 다리의 독립된 신경으로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데요, 다리가 잘린 후에도 신경이 일정 시간동안은 살아있기 때문에 꿈틀거리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산낙지의 다리가 잘린 후에도 움직일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생물의 신경계와 근육 구조 때문입니다. 생물의 신경계는 몸의 다양한 부분을 제어하고 운동을 조절하는 중추신경계와 말단신경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낙지의 경우에도 중추신경계와 말단신경계가 다리에 연결되어 있어서, 다리에 자극이 전달되면 신경계가 이를 뇌로 전달하고 다시 근육으로 신호를 보내어 움직이게 됩니다. 따라서 다리가 잘려도 일정 시간 동안은 신경계의 반사작용에 의해 움직일 수 있습니다.
산낙지가 잘려도 꿈틀거리는 이유는 뇌가 아닌 독립적인 신경망 때문입니다.
낙지와 같은 연체동물은 뇌 외에도 촉수, 다리 등 각 부위에 신경절이라는 작은 신경 중추가 존재합니다. 이 신경절은 마치 작은 뇌 역할을 하여 각 부위의 움직임을 제어합니다.
따라서 몸통이 잘려도 각 신경절이 살아있으면 촉수나 다리가 반사적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움직임은 일종의 경련이며, 곧 멈추게 됩니다.
또한, 낙지는 자극에 민감하기 때문에 잘린 후에도 주변 자극에 반응하여 움직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칼로 찔리거나 뜨거운 물에 닿으면 촉수나 다리를 꿈틀거리며 반응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산낙지가 잘려도 움직이는 이유는 뇌가 아닌 독립적인 신경망과 자극에 대한 민감성 때문이죠.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산낙지는 뇌와 다리 두 곳에 모두 신경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리가 잘려도 뇌와의 연결은 끊기지만, '다리-근육' 신경의 연결은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