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쩡콩콩
쩡콩콩

아기 기저귀 떼는 시기는 보통 언제가 적절 할까요!

지금 20개월 아기 약 한달 전부터 기저귀를 불편해 하고, 쉬쉬 말을 시작했어요.

집에서는 변기에 쉬를 몇번 성공하는데 어린이집에서는 아직안하려구 한다고 하네요!

기저귀 떼기 연습 어디서부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기저귀 떼는 적당한 시기가 언제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배변훈련은 아이마다 개인차가 있기 마련입니다.

    빠른 경우에는 18개월 후 부터 가리기 시작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소변을 가리는 시기는 24개월 전후로는 20%정도가 낮 소변을 가릴 수 있고 30개월이 되어야 80%정도가 소변을 가릴 수 있게 됩니다. 가장 좋은 것은 아이가 기저귀를 떼고 싶어하는 신호를 보낼때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기저귀를 불편해 할 때,기저귀가 보송보송할때,혼자숨어서 응가를 할때,쉬,응아 한다고 표현할때,대소변 간격이 4시간 이상 벌어질 때 등을 잘 살펴보시고 시작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주로 여름에 시작하시면 가벼운 옷을 입혀서 쉽게 입고 벗을 수 있어서 도움이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기저귀를 떼기 시도를 할 때 제일 먼저 아이와 언어적 의사소통이 가능해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이제는 기저귀와 안녕 인사를 하고 헤어지고 새로운 변기 친구를 만나야 한다 라는 것을 인지시켜 주세요.

    또한 아이의 신호를 잘 파악하셔야 합니다. 아이가 기저귀를 잡아 당긴다 던지, 변기에 관심을 보인다면 이때는 기저귀 떼기를 할 수 있다 라는 신호 입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아이가 기저귀와 헤어질 마음의 준비 시간을 충분히 주셔야 한다 라는 점 입니다.

    마음 급하게 기저귀 떼기를 시도하긴 보다는 아이가 기저귀가 헤어질 수 있고, 변기에 앉는 것이 익숙해 질 무렵에 기저귀 떼기를 시도하고, 아이의 기저귀 떼기를 도와주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이 기저귀를 떼는 시기는 약 세돌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 전에는 아이들에게 서서히 노출을 시켜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장난감 변기를 사서 집안 한군데 비치해주시면 아이들은 장난으로 앉아서 볼일을 보는 시늉을 하곤 할겁니다. 이렇게 하다가 한번은 기저귀를 벗겨서 한번 하도록 해주시면 아이들도 재미가 있어서 계속해서 반복을 할겁니다. 이렇게 조금씩 천천히 아이들이 할 수 있도록 해주시면 훈련을 하실때 크게 어려움이 없을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20개월 부터 배변 훈련을 시작하는 것은 자연스럽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쉬쉬라는 말을 하였다는 것은 준비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변기에 앉는 것을 두려워 하지 않는 다는 것이죠

    성공 할때마다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말아주시고, 긍정적인 피드백으로

    배변 훈련을 이어 가 주시면 되겠습니다.

    아이 전용 변기를 마련해 주시면 좋을 것 같구요

    너무 급하게 하지 마시고, 아이 속도에 맞춰 주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마다 각자 조금씩다르긴 합니다. 그런데 아기들이 보통은 소변과 대변에 가리는 훈련은 어린이집에 다니면서 하게 되는데, 보통 3살 말~ 4살 초에 하게 되는데요. 어린이집에서 가정에도 배변훈련을 연습시켜 달라는 안내장을 보냅니다. 그때 간이변기를 구입해서 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아이와 앞으로 여기에 쉬야,응가하는거야라고 말해주시고 연습을 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기저귀 떼는 시기는 아이마다 성장발달에 의해 차이가 있는데

    보통 18개월~36개월 사이에 많이 하고 있어요.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아기가 신체적, 정서적 준비가 되어있는지 살펴보고 시작하는 것이 중요해요.

    아이가 기저귀 뗄 시기가 되면 몇가지 신호가 있어요.

    *자기 몸에 생기는 불편함을 표현해요.

    *방광조절 능력이 발달하여 기저귀가 마른 상태를 하고 있어요.(2시간 이상)

    *가족이 화장실을 사용하는 모습에 관심을 가져요.

    (아이가 화장실에서 배변을 시도하면 긍정적인 반응과 표현을 많이 해주세요)

    *집에 있을 경우 낮 동안 기저기를 떼고 있는것도 도움이 되요.

    *아이의 소변패턴을 확인하시어 규칙적으로 화장실을 유도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