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보험

저축성 보험

윤도리도리(입벌구)
윤도리도리(입벌구)

적금이나 저축vs국민연금추납??

올해55세 남성입니다

연금수령액이 30만원정도밖에안되네요 불입한개월수가 짧아서요..그래서 알아보니 추납제도라는게 있더라구요?

월221,850원씩119개월=26,400,150원

최대60개월로 나눠낼수있답니다.

그런데 이자가 총178만정도 붙는다네요?

그래서1년단위로 528만원씩 5년간 내면 이자는없다고하네요?

이렇게하면 65세부터604,000원정도 수령한다고합니다.

원금손익분기점은 대략68-69세정도네요?

그럼 이기간동안 총26.400.150원을 적금이나 저축에 넣는것이 나은지? 추납을통해 연금수령액을 좀더올리는게나을지 고민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적금이나 저축등의 다른 방법으로 준비하는것보다 국미연금 추납을 권합니다 연금고갈이라든지 불안한 얘기들은 많지만 그래도 아직 55세라면 국미연금 추납으로 수러맥을 늘이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55세 이후에는 국민연금 추납이 유리하며 1년 단위로 납부하면 이자 없이 납부 가능하고, 장기적으로 연금 수령액을 늘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추납 후 수령 시점까지 기다려야 하고, 인플레이션과 물가 상승도 고려해야 하니 본인 재정상태와 목표에 맞게 선택하는 게 중요하며, 전문가 상담을 통해 최적의 방법을 찾는 게 가장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창훈 보험전문가입니다.

    현재 상황에서는 국민연금 추납을 활용하는것이 가장 유리하다고 판단됩니다.

    특히 이자없이 1년 단위 납부 방식으로 진행하면 훨씬 경제적이며 적금,적축보다 훨씬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보험전문가입니다.

    추납을 통해 연금 수령액을 늘리는 것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할 수 있지만, 68-69세 이후에 이익을 보게 되므로 그 시점까지의 생활비와 다른 재정적 필요를 고려해야 합니다.반면 적금이나 저축은 이자율과 기간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지지만, 언제든지 인출 가능하다는 유연성이 있습니다

    또한 10년뒤부터 받을 돈의 화폐가치가 지금과는 다릅니다 이미 물가는 계속 오르고 있고요 상승폭이 더 커진다면 안좋을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국민연금 추납 보다는 저축성 보험으로 운용을 하시는게 좀 더 좋다고 봅니다. 아무래도 저축성 보험은 10년 이상 운용 시 비과세 혜택과 복리로 운용이 되기에 일반 적금보다는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