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건강관리

기타 영양상담

단정한산양75
단정한산양75

보리밥이 소화가 잘 안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보리밥을 좋아하는데요. 하지만 잘 소화가 되지 않더라구요. 그래서 자주 먹진 못합니다. 왜 소화가 잘 안되는걸까요? 그리고 소화 잘되게 하는 방법은 무엇이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민 영양전문가입니다.

    우선 쌀밥은 소화가 비교적 잘되는데요

    보리밥은 쌀밥에 비해 식이섬유가 많아서 그래요

    식이섬유가 우리가 소화를 못하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류호연 영양사입니다.

    보리의 풍부한 식이섬유가 오히려 과도하면 복부 팽만감이나 소화 불량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보리를 푹 끓여 보리죽으로 섭취하면 소화가 잘 되고 속을 편안하게 해줍니다.

  • 안녕하세요. 

    보리밥은 흰쌀밥과 다르게 섬유질이 많습니다. 섬유질이라고 하면 보통 식이섬유를 의미하는데 식이섬유는 소화가 자체가 느리거나 배출되는 탄수화물의 일종입니다.

    백미의 경우, 보리밥처럼 섬유질이 없습니다.

    보리밥이 섬유질이 많은 대신에 포만감은 많이 줘서 조금만 먹어도 배가 부릅니다.

    그래서 비만에 좋습니다. 그 외에 식이섬유는 혈당, 혈중 콜레스테롤, 장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보리밥만 하지 않고 백미 등 섞는 것도 소화를 조금 개선시키는 방법입니다. 조금이라도 도움되는 것은 불리는 시간의 증가이나 식이섬유 자체를 분해하거나 하지 않기에 소화하기 어려운 점은 일부 남아있습니다.

    참고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영양적인 관점에서 균형 잡힌 식사는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입니다. 다양한 식품군에서 영양소를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의 적절한 비율이 필요합니다.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과일과 채소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수분 섭취도 간과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리고, 하루에 충분한 물을 마시고 가공식품과 설탕의 섭취를 줄이는 것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예은 영양전문가입니다.

    보리는 흰쌀에 비하여 식이섬유 등의 미네랄이 풍부하기때문에

    소화력이 약하신 분들은 소화가 잘 되지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