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주식시장이 저평가된 이유가 지리적인 위치말고 그리고 무슨이유가 있는가요
우리나라 주식시장이 가까운 일본과 그리고 중국 그리고 미국에 비해 매우
저평가된 이유는 지리적인 위치와 북한과의 관계 말고는 또 어떤 이유가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로나 이후 우리나라의 주식 즉 코리아디스카운트의 요인은 지리적 이유라기 보다는 오히려 거버넌스 이슈가 더 큽니다 예를들어 대만도 우리나라 처럼 전쟁이슈가 매우 큰 상황이지만 오히려 PBR이 2배이상으로 국내증시보다 밸류에이션으로 2배이상 평가받는 기업입니다.
그러나 국내 기업은 대만과는 다르게 배당성향이 20~25%로 전세계에서 가장 꼴지수준이며 대주주와 소액주주간의 지분가치가 크게 다르다는 문제와 이로 인해서 물적분할이나 일감몰아주기 자사주마법을 통한 지배주주 경영권방어등 소액주주와 일반주주의 가치가 크게 할인되는 요소로 작동하고 있는게 문제입니다.
이로 인해서 국내 증시가 크게 할인을 받는것이지 지리학적인 문제가 더 핵심 요소가 아닙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주식시장은 대주주 중심의 경영, 이사회 견제 미흡, 낮은 주주환원, 회계 투명성 부족 등 취약한 기업 지배구조로 인해 저평가되고 있습니다. 경영진 견제 장치가 약해 주주 이익 보호가 미흡하고, 배당 등 주주환원 정책도 선진국 대비 부족해 글로벌 투자자의 신뢰도가 늦은 상황입니다. 대기업 그룹의 자회사의 쪼개기 상장이 대표젹인 예시 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지정학적 위치와 국제정세적 불안이 1순위이며, 그 외에 추가적인 부분은
높은 인건비
일부 강성 노조
고용의 경직성(해외 비해 정규직의 고용 안정성이 높아서 오히려 외국 기업입장에서 디메리트)
정치적 불안정성
등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재벌이라는 구조속에 법인기업을 오너일가가 사유화한다는 것에 문제가 있습니다
그 뜻은 기업이 돈을 벌면 주주들에게 환원을 해야 하는데 유보금으로 쌓아두고 오너일가가
천천히 빼서 사용하는 등의 행위입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아무리 많은 수익이 발생해도 실제 주가에는 반영이 안되는 답답한 흐름이
이어지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기업들은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지 않은 대기업 그룹이 많아, 소액 주주의 이익보다는 총수 일가의 지배권 유지나 사익 편취에 중점을 둔다는 인식이 강합니다. 해외 선진국 기업들은 이익 발생 시 배당 확대나 자사주 소각을 통해 주주에게 환원하는 데 적극적입니다. 반면 한국 기업들은 이익을 사내에 유보하거나 신규 투자 명목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 주주 친화적이지 않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앞서 메리츠금융그룹의 사례처럼 자사주 고각이 기업 가치를 높이는 효과가 큼에도 불구하고, 국내 많은 기업이 자사주를 소각하지 않고 지배력 강화에 활용하는 것도 주주 가치 훼손의 원인으로 지적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주식 시장이 저평가 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일단 코리안 디스카운트는
우리나라의 지정학적인 위치 (북한과 마주하고 있는) 것이 그 이유 중 하나이고
다른 하나는 주주를 등한시 하는 기업 경영 행태도 그 이유 중에 하나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증시가 저평가 된 이유는 지정학적인 위치도 요인 중 하나지만 가장 큰 요인은 오너기업들의 마인드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상속세가 높은 이유로 기본적으로 주가가 오르는걸 싫어하는 오너들도 많죠
그리고 회사 경영권 방어를 위해서 지분구조를 복잡하게 만들기 위해서 물적분할 등을 해서 쪼개기 상장을 허다하게 해됩니다 그래서 이번에 상법 개정해서 주주친화적인 증시 환경을 만든다고 했고 그 기대감에 코스피가 3000 트라이 중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증시가 저평가된 이유는 미흡한 주주환원 수준, 저조한 수익성과 성장성이 가장 큰 이유이며 추가적으로 취약한 기업지배구조, 회계 불투명성, 낮은 기관투자자 비중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