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에 pbr은 왜 보는 건가요?
재무상태가 위험한 기업이 아니라면 사업을 계속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런 경우에 pbr은 의미가 없을 것 같기도 한데 주식 투자에 pbr은 왜 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pbr은 자본대비 주가의 시가총액을 말합니다.
즉 이 pbr이 1에 근접할 수록 해당 주식을 전부 매수해서 해당 기업이
소유한 자산만 매각해도 본전이상은 뽑을 수 있다는 계산이 됩니다
그만큼 저평가 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 투자에서 PBR을 보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PBR은 주식회사의 주식의 주가가 저평가 되었는지
혹은 고평가 되었는지를 판단할 때에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이론적으로 PBR이 1을 기준으로 해서 이보다 높으면 고평가, 낮으면 저평가된 것이라고 보며
투자에 참조하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PBR을 보는 이유는 단순히 자산 대비 주가가 싸다 비싸다를 가늠하는 지표로 쓰이기 때문입니다. 기업이 망하지 않고 계속 영업을 한다는 전제에서 보면 장부가치보다 시장에서 평가받는 가치가 더 크거나 작을 수 있죠. 그래서 같은 업종 안에서 비교하면 투자자들이 어떤 기업에 더 프리미엄을 주는지 감이 잡히기도 합니다. 재무가 탄탄한데도 PBR이 낮다면 시장이 성장성을 의심하는 걸 수도 있고 반대로 높으면 미래 기대를 반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PBR 이 회사가 보유한 자산가치대비 주가비율을 나타내는거죠 올해 저PBR주들이 꽤 큰폭으로 상승을 했습니다
회사가 보유한 자산가치를 온전히 반영하면 PBR 이 1 입니다 저PBR 주들은 0.2~0.3인 회사들도 꽤 있죠
자산가치만 반영해도 주가상승여력이 저만큼 있다는거죠 성장주가 아닌 실적주나 배당주에서는 그래서 PBR도 좀 봐줘야 하는게 맞긴 할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PBR(주가순자산비율)은 주가가 기업의 장부가치(순자산) 대비 얼마나 평가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PBR이 1이면 주가가 순자산과 같고, 1보다 크면 고평가, 1보다 작으면 저평가로 해석합니다. 투자자들은 PBR을 통해 기업의 재무 안전성이나 저평가 여부를 파악해 투자 판단에 활용합니다. 다만, PBR만으로 판단하지 않고 업종 특성과 시장 환경도 함께 고려해야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에서 pbr이라고 하는 것은 현재의 주가가 고평가 되었는지 또는 저평가 되었는지 등에 대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것이 1을 기준으로 1은 가치가 일정하다, 1보다 높으면 고평가, 1보다 낮으면 저평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평가가 있는 것은 결국 고평가라고 한다면 추후 주가는 내려갈 수 있고, 저평가라고 한다면 추후 주가가 올라갈 가능성이 높으니 이러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접근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PBR은 투자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이는 기업의 시가총액을 순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현재 주가가 회사의 순자산에 비해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말씀하신 대로 기업이 사업을 계속한다면 PBR이 의미 없을 수 있다는 생각은 일면 타당하지만, 투자자들은 여러 이유로 PBR을 활용합니다. PBR이 1 미만이라는 것은 현재 주가가 회사의 순자산 가치보다 낮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회사가 당장 모든 자산을 청산하고 빚을 갚았을 때 주주에게 돌아올 돈보다 현재 주가가 낮다면, 해당 주식은 저평가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물론 단순히 PBR이 낮다고 해서 무조건 저평가된 것은 아닙니다. 기업의 성장성이 낮거나,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ROE 즉 자기자본이익률과 함께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PBR은 밸류에이션입니다 기업은 밸류에이션의 함수입니다 즉 현재기업의 이익구조와 이익으로 벌어서 늘어난 자산에서 밸류에이션을 얼마나 주느냐입니다
보통 PBR은 이런 밸류에이션을 진단하고 과거 평균밴드가 어떤지 그리고 보통 하락추세어 바닥으로 볼때 기업이 보유한 순자산에서 하락 평균 밴드인지 가늠할때 쓰는전략입니다 PBR의 밴드를 높게 배수 적용 받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기업의 ROE가 높아야 되는게 핵심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PBR은 주가를 장부가치와 비교하는 지표로 저평가 여부 판단에 사용됩니다. 사업을 계속하는 기업이라도 위기 시 자산가치가 하방을 지지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존속성만으로도 무시할 수 없는 지표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pbr과 같은 경우에도 회사의 순자산가치가
충분한지 동종업계의 기업들과 비교하는 등
이에 따라서 보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PBR은 주가 순자산 비율로서 기업의 주가가 장부가치 대비하여 얼마나 평가 받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입니다. 재무가 안정적이라도 PBR이 낮으면 시장이 성장성, 수익성을 낮게 본다는 신호일 수 있고 반대로 높으면 미래 기대가 반영 된 것입니다. 즉 PBR은 단순 안전성보다 저평가, 고평가 여부를 판단하는 보조 지표로 활용 됩니다.
하지만 업종, 성장 단계에 따라 적정 PBR이 다르기에 ROE, PER과 같은 다른 지표도 함께 보는 것이 중요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