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금리가 오르는 요소는 어떤게 있나요?
세계적으로 금리인하 분위기임에도 장기금리가 높은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기준금리 외에 장기금리가 오르는 요소는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장기금리가 오르는 요소에 대한 내용입니다.
장기금리란 만기 1년 이상의 장기금융시장에 적용되는 금리로
위험성과 불확실성을 기반으로 해서
금리가 오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금리가 움직이는 게 단순히 기준금리 때문만은 아닙니다. 사실 시장이 보는 건 앞으로의 물가랑 경기 흐름이죠. 물가가 쉽게 안 잡힐 거다 싶으면 장기금리부터 버티듯 올라갑니다. 또 정부가 국채를 많이 찍어내면 공급이 늘어나니까 금리가 높아지기도 하고요. 미국 같은 경우엔 재정적자 문제 때문에 국채 쏟아내는 게 영향을 크게 줍니다. 거기에다 투자자들이 위험자산으로 돈을 돌리고 안전자산인 채권을 덜 사면 장기금리가 더 올라가기도 합니다. 결국 심리 싸움 같은 면도 크다고 보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금리는 미래의 물가 상승률을 반영합니다. 채권 투자자들은 미래에 물가 상승으로 인해 돈의 가치가 떨어질 것을 예상하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더 높은 금리를 요구합니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리더라도, 시장 참여자들이 인플레이션이 쉽게 잡히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면 장기금리는 상승 압력을 받게 됩니다. 장기금리는 미래의 경제 성장률을 선반영합니다. 경기 침체 우려가 크면 기업 투자나 가계 소비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어 장기금리가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대로, 앞으로 경제가 강하게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하면, 기업들이 자금 수요를 늘리고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판단하여 장기금리는 상승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금리가 오르게 된다면 경기가 회복이 된다고 보는 관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보다 안전된 자산보다는 불안하지만 수익성이 좋은 자산에 투자를 하게 되고, 그렇게 될떄 국채에 대한 수요나 관심도가 떨어지기에 이러한 관심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장기금리가 상승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장기금리가 상승한다는 것은 경기가 보다 이전보다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에 다가가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금리는 기준금리 외에도 경기 전망, 물가 기대, 국채발행 규모, 글로벌자금흐름 등이 영향을 줍니다. 특히 물가 기대가 높아지면 장기금리가 오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향후 기대인플레이션이 장기적으로 오를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관세나 비관세장벽처럼 이런기조가 장기적으로 유지되어 물가가 더오른다거나 향후 미국의 신용등급의 강등이 우려되는 즉 시장금리를 하락시키는 요인이 발생하게 되면 장기금리를 올리게 되는 요소로 작동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금리가 오르는 주요 요소
1) 인플레이션 기대: 물가 상승 전망이 커지면 장기금리가 상승합니다.
2) 경제 성장 전망: 경제 회복 기대가 높아지면 장기 자금 수요 증가로 금리 상승합니다.
3) 재정정책: 대규모 정부 지출(예: 미국 인프라 투자)이나 적자 확대는 국채 발행 증가로 장기금리 상승합니다.
4) 중앙은행 정책: 기준금리 인하에도 통화정책 불확실성(예: Fed의 점진적 인하)이나 양적 긴축(QT)으로 장기금리 유지되거나 오를 가능성을 높입니다.
5) 글로벌 요인: 달러 강세, 원자재 가격 상승은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장기금리 상승합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때문에 그럴수있을것 같습니다.인플레이션 전망과 국채수급문제로 인해 영향을 받습니다.기준금리가 내린다고 장기금리도 내린다는 정해져있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