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의 하늘은 파란색인데, 왜 노을이 지면 빨게지나요?
평소에 하늘은 푸른색인데 노을이 지면 왜 빨갛게 변하나요?
그리고 태양은 빨간색인데 평소 하늘이 파란이유는 뭔가요?
그리고 바다가 파란색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알기 쉽게 설명해주세요!
햇빛이 지구로 들어와 대기권에 퍼질 때 파장이 짧은 청색 광선 은 공기입자와 충돌해 사방으로 퍼져 멀리까지 가지 못한다. 반 면 빨강 광선은 공기입자와 충돌하는 비율이 낮아 공기 속을 통 과해 멀리까지 갈 수 있다. 그런데 낮에는 태양으로부터 나온 빛이 지구에 도달하기 위해 통 과해야 하는 지구 대기층의 두께가 저녁에 비해 비교적 짧아 하 늘이 푸르게 보인다. 그러나 저녁 무렵이 되면 태양의 고도가 낮 아지는데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면 태양빛의 기울기가 작아져 통 과해야 하는 대기층이 길어진다. 따라서 파장이 짧고 산란하는 각도가 작은 파란빛은 대기층을 통과하지 못하고 파장이 길고 산 란하는 각도가 큰 빨간빛만이 대기층을 통과하기 때문에 노을 이 붉게 보인다. 비온 뒤에 저녁 노을이 더 붉은 것은 비로 인해서 공기 중에 있 는 무수한 입자들이 많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또 공기가 없는 달 에서는 이러한 산란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하늘이 항상 검은 것 이 다. 우리눈에 보이는 태양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빛은 분광기에서 스 펙트럼을 조사해 보면 무지개빛 7가 지색을 모두 띠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중 파란색을 띤 빛은 파동이 짧고 에너지가 크지만 가까운 거 리까지만 투과되는 성질이 있고.. 빨간색 빛은 파동이 길고 에너지가 작지만 먼 거리까지 투과되 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 태양빛은 지구 대기권을 통과하면서 대기권의 원자들과 부딪 쳐서 산란되고 여과되는데 .. 이 과정에서 대기의 산란때문에 지구에 도달하지 못하고 여과되 는 빛이 있습니다.. 태양과의 거리가 가까운 낮에는 주로 파란색 빛이 대기권을 통 과해서 지구에 도달하게 되고.. 태양과의 거리가 먼 저녁때는 파장이 긴 빨간색의 빛이 대기권 을 통과해서 지구에 도달하게 되지요.. 저녁때 노을진 붉은 하늘이 나타나는건 이렇게 붉은색의 빛이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우리눈까지 들어오게 되기 때문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