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4.04.18

야생동물에게서는 왜 충치가 보기 힘든가요?

인간은 음식을 섭취하고 양치질을 꾸준히 하는데도 충치가 생깁니다. 그런데 야생동물은 이러한 관리없이도 이빨을 보존하는데 어떻게 가능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야생동물이 섭취하는 물질들은 당류가 적고 또한 탄수화물이 아닌 단백질 등을 섭취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충치가 발생할 확률이 극히 낮아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야생동물의 경우 사람과 같이 양치질을 하지 못하지만 양치와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는 풀들을 많이 먹어서 충치를 보기 힘들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옥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야생 동물은 일반적으로 식물, 과일, 생고기 등 가공되지 않은 천연 식품으로 주로 구성된 식단을 가집니다. 이러한 음식에는 충치를 유발하는 설탕과 탄수화물이 포함될 가능성이 적습니다. 결과적으로, 야생동물은 종종 단 음식과 가공식품을 섭취하는 인간에 비해 충치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흔히 충치는 당분이 많고 익힌 음식을 먹는 인간에게 주로 발생하는 질병이며 날것을 먹는 기타 동물은 충치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충치는 인간 외의 동물들에게도 흔히 있는 병이며 야생동물과 가축을 가리지 않고 발병합니다. 대개의 동물에게 있어 충치가 인간만큼 골칫거리가 되지 않는 이유는 대부분의 동물들이 인간보다 훨씬 수명이 짧은 탓에 충치로 치아가 크게 썩어버리기 전에 이미 포식자에게 죽거나 노화로 수명을 다해서 죽거나 상어, 악어처럼 이가 파손되어도 계속 나거나 새, 거북처럼 치아가 아예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군견의 경우 티타늄 틀니나 임플란트를 박아 주기도 하는데 이는 임무 중 치아가 상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크지만 부수적으로 충치 예방의 목적도 있다. 동물들도 이빨 사이에 낀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 나무 껍질, 나뭇가지, 풀 등을 씹거나 물을 마시면서 이빨을 씻기도 하고 입을 벌려 태양열을 쬐기도 한다. 게다가 동물원이나 농장 등에서 코끼리나 당나귀 등 수명이 인간수준으로 긴 동물들은 어느날 충치에 걸려서 고통을 겪다 치료를 받는 일이 일어나곤 하는데 특히 코끼리의 경우 고통을 못이겨 난동을 부리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야생동물들이 충치가 생기지 않는건 인간과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충치가 생기기 위해선 음식에 포함된 당분으로 살아가는 뮤탄스란 이름의 균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 균이 당분을 먹고 산성물질을 만드는데 이것이 치아를 썩게 만듭니다. 하지만 야생동물의 경우는 당분을 섭취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충치가 발생하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가정에서 키우는 애완동물의 경우는 사람과 먹는것이 유사하기 때문에 충치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개나 고양이 등은 충치가 발생하지 않게 이빨을 닦아 줍니다. 동물들도 충치에 걸리진 않지만 나이가 들면 잇몸이 약해져 이빨이 흔하게 빠지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야생동물은 주로 천연 식품을 먹기 때문에 인간과 같이 당분이 풍부한 가공 식품을 섭취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충치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들의 단것을 먹기 때문에 충치가 생기지만 야생동물들은 단것을 먹지않기때문에 충치가 생기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야생동물은 섬유질과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고 당이 들어간 음식을 적게 먹는 반면, 인간은 가공식품과 설탕이 많은 음식을 자주 먹습니다. 이러한 가공식품은 치태 형성을 촉진하고, 치아 표면을 부식시켜 충치를 유발하는 경향이 있어 야생동물에 비해 충치가 많은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