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처서매직
처서매직

한미 정상회담에서 대미 투자와 원전 협력까지 통상의제로 올랐다는데 실무적 의미가 있을까요

협력 아젠다는 풍성해 보이지만 기업들은 여전히 관세와 통관 문제가 시급합니다 이번 합의들이 우리 기업들의 수출입 환경을 개선하는 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원전 협력이나 대규모 투자가 의제에 오른 건 분명 상징적 의미가 크지만, 수출입 기업 입장에서는 관세나 통관 절차가 직접적인 변수로 작용합니다. 협정에서 다루는 투자 확대나 기술 협력은 장기적으론 시장 안정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세율 변화나 통관 간소화 같은 구체적 합의가 뒤따라야 기업들이 체감할 수 있습니다. 제 경험에 비추어 보면 정상회담에서 발표된 큰 틀의 합의는 시간이 걸려야 제도에 녹아듭니다. 실제 현장에서는 원산지 증명 요건 완화나 통관 서류 간소화 같은 작은 변화가 기업 비용 절감에 더 직접적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일부는 도움되는 것이 맞으나, 결국 미국이 원하는 것은 미국에 대한 직접투자입니다. 실질적으로 우리나라는 미국에 대하여 연에 3~4백억 정도를 투자하고 있었는데 이제는 약 1천억달러에 해당하는 금액을 투자하여야 됩니다. 추가적으로 이에 대한 수익도 미국에 재투자하여야되기에 우리나라보다는 미국에 더 큰 도움이 되는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