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비행기의 창문은 왜 다 동그랗게 되어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비행기 탈 때마다 드는 생각이 있는데요
모든 비행기의 창문은 왜 다 동그랗게 되어 있는 건가요??
자동차나 기차들은 다 네모난데...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높은 고도로 올라가면 기내와 외부의 압력 차이가 매우 커집니다. 만약 창문이 네모나다면, 모서리 부분에 압력이 집중되어 균열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실제로 1950년대에 직사각형 창문을 가진 항공기가 공중에서 분해되는 사고가 여러 차례 발생했고, 조사 결과 창문 모서리가 가장 취약하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둥근 모양의 창문은 이러한 압력을 모서리에 집중시키지 않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크게 높여줍니다.
또한, 비행기 창문 아래쪽에는 블리드 홀이라는 작은 구멍이 있는데 이는 창문 세겹 중 중간 판과 바깥쪽 판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고 습기가 빠져나가 김 서림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처럼 비행기의 모든 부품과 설계는 수많은 사람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만들어집니다. 미래에는 카메라 영상을 통해 창문 없이도 외부 풍경을 볼수있는 비행기도 개발될수있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비행 중 창문이 파손되는 이슈가 생기면 안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강도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인데요.
동그란 형태는 기본적으로 응력을 분산시켜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행기 창문의 균열이나 파손의 위험성은 낮아집니다. 또한 내 외부의 압력 차이로 인한 파손도 염두해야하기에 동그란 형태로 적용하였습니다.
비행기 창문이 동그란 형태로 되어 있는 데에는 아래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압력 분산: 비행기는 고도를 상승할수록 기내와 기체 외부의 압력 차이가 커집니다. 만약 창문이 사각형이라면 모서리 부분에 압력이 집중되어 균열이나 파손 위험이 높아집니다. 반면, 동그란 형태는 압력이 균등하게 분산되어 이러한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피로 방지: 비행기는 지속적인 운항 과정에서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겪습니다. 사각형 창문의 경우 모서리 부분에 피로가 누적되어 균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하지만 동그란 형태는 이러한 피로 누적을 줄여 창문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각이 있는 형상을 적용할 경우 기압 등 외부로 부터 힘이 발생할 때 가장자리가 깨지기 쉬워집니다. 이에 따라 최대한 안전하게 R 을 적용하게 되는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기계공학 전문인 박성수 전문가입니다
비행기 창문이 타원형인 이유는 비행기가 높이 날 때 생기는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설계로 타원형으로 설계한 이유입니다.
안녕하세요, 생산공장설비관리직을 맡고 있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
비행기 창문이 동그란 이유는 구조적인 안정성 때문인데요. 기본적으로 비행기가 비행을 하게 될때, 귀가 먹먹해지는 현상을 느끼신 적이 있을 겁니다. 내부와 외부의 기압차이로 인해서 발생하는 것인데요. 항공기 자체에도 엄청난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네모난 창문의 경우는 모서리 부분에 그 압력이 집중이 될 수 있습니다. 즉 균열을 막기 위해서 동그랗게 되어 있는 것이라 이해하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좋아요 버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