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3아들과 관계개선을 위한 대화법 또는 대처법이 있을까요?
집나간아들이 돌아와 열심히 살겠다고 합니다
고맙기도하고 미안하기도 합니다
앞으로
더좋은관계를 위한 팁이나 도움되는 내용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집을 나간 아이가 돌아와서 정말 기쁘고 반가웠겠습니다.
사춘기가 온 아이는 제2차 성징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의 몸으로 변해 갑니다.
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이 생깁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됩니다.
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겨울잠을 자러 들어간 곰이라고 생각하고 새봄에 동굴로 다시 나올때 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
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더욱 더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 있으니 말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대화를할때i massage를 사용해보시는것도좋답니다
서로의감정보다는 나의감정이나마음을이야기하며소통하면좋겠네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와 공감적 대화를 자주 해주시는것이 좋으며
아이의 상황에 대해서 이해하고 어느정도 받아드리면서
서로간의 유대관계를 쌓아가는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중3 아들과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은 소통인데요.
소통의 창구는 대화 입니다.
아이와 함께 대화하는 시간을 자주 가지면서 거리를 좁혀 나가야 합니다.
아이의 이야기를 잘 경청해 주시고, 아이의 시선으로 아이를 마음을 이해하고,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해 주신 후에 부모님의 생각을 전달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먼저 손을 내밀어 준 모습을 보이네요 매우 감동적입니다.
아이와 함께 아이가 좋아하는 관심사를 공유하셔서 공감대를 형성해주시고
여행도 많이 다니시며 그동안 쌓지 못했던 추억을 많이 만들어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사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화를 꾸준히 시도하여
아이 심리상태나 아이가 바라는 것을 이해해주려고 노력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대화가 어렵다면 편지 등의 형식으로 아이의 마음을 알아가시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평소에 대화를 자주 나누기 바랍니다
그리고 소통을 열심히 해야 될 것 같습니다
훈육이 끝나면 반드시 사랑한다고 따뜻하게 대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서로에 대한생각을 공유하고
앞으로 조금만 더 늘리는 방법을
활용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들과 서로 오해를 풀고 서로를 이해하자고
해주시는 등 함으로써 대화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단은 아이가 무사히 집에 돌와왔으므로, 너무 다그치거나 혼을 내지는 않아야 될 것 같아요
평소에 아이의 말에 귀를 기울여주시고,
아이의 의견을 존중해주셔야 합니다
아이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항상 사랑과 애정을 듬뿍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