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귀한게논239
고귀한게논23923.02.01

오로라 자연현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건가요?

오로라 자연현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건가요?

자연현상인데 왜 우리나라에서는 보지 못하는지 궁금합니다.

꼭 외국가서 봐야하는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1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에서 날아온 입자는 지구 대기의 산소나 질소와 충돌합니다. 이때 충돌하는 기체에 따라 오로라의 색이 다채롭게 펼쳐집니다. 산소와 질소는 충돌로 얻은 에너지를 천천히 전자기파 형태로 방출하며, 산소는 0.74초라는 짧은 시간 동안 녹색의 빛을 방출하는데, 대략 상공 90~150km에서 벌어진다고 합니다.

    오로라 현상은 지구의 자성이 오로라가 생기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래서 오로라 현상의 경우는 지구의 자기의 세기가 강한 북, 남극 극지방에서만 주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으로부터 방출된 플라즈마 입자가 지구 대기권 상층부의 자기장과 마찰하여 빛을 내는 광전 현상을 '오로라'라고 합니다. 플라즈마 입자는 태양풍을 따라 지구 근처에 왔다 지구의 중력에 이끌려 대기로 진입하는 것이 대부분 입니다.

    자기장과 마찰하여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자극에 가까운(자석의 N극과 S극) 극지방 근처에서 발견되는 현상입니다. 주로 위도 65~70도 부근을 '오로라대'라고 합니다. 완전한 극지방, 적도부근 보다는 이 지역(오로라대)에서 더 많은 오로라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오로라를 볼 수 있는 확률은 있겠으나 심히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허재원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으로 온 입자가 극지방에서 부딪쳐 오로라가 발생합니다

    다시 말해서,

    태양에서 방출된 플라스마의 일부가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대기로 진입하면서 공기 분자와 반응하여 빛을 내는 현상입니다.

    지구의 자기권은 극지방으로 갈수록 구부러지는 형태여서 극지방에서는 자기층이 엷게 형성됩니다. 바로 이 엷은 층에 태양풍이 스며들게 됩니다. 이때 태양풍 입자들과 대기 속의 공기 분자가 충돌하면서 오로라가 생기게 됩니다


  • 오로라는 극지방에 가까울수록 보기가 쉽습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나오는 태양풍이 원인입니다.

    태양풍이란 태양의 상층대기가 팽창하여, 플라스마 입자가 우주 공간으로 빠른 속도로 불어나가는 것입니다.

    지구는 하나의 거대한 자석인데, 북극이 N극인 큰 자석입니다.

    태양풍이 지구에 도달하면 지구의 자기장과 태양의 자기장이 상호작용을 일으켜 서로 연결됩니다.

    이 때, 자기장끼리 연결되면 플라스마 입자가 자기력선을 따라 움직이게 되고 이것이 오로라를 일으키게 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나라는 알래스카, 캐나다, 핀란드, 러시아 북부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