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쟁이가 물위에서 점프를 할수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소금쟁이를 보다보면 물위를 미끄러지듯이 움직이다가 갑자기 점프를 하는 경우를 볼수 있는데 어떻게 물위에서 빠지지 읺고 점프가 가능한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가 가볍고 무거움의 이유가 아닙니다. 물에 뜨는 원리는 표면 장력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는 다리에 기름 성분이 있고, 매우 가볍기 때문에 물에 뜰 수 있습니다.
거기에 물의 표면장력으로 인해 소금쟁이는 가라앉지 않고 물에서 뛸 수도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의 발은 가볍고 넓게 펼쳐져 있습니다. 이러한 형태는 물 위에서 떠다니기 쉽게 만듭니다. 물 위에서 떠다니는 물체는 표면 장력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됩니다. 표면 장력은 물 분자들이 서로 붙어있는 힘으로, 물 위에서 떠다니는 물체에게 위쪽으로 작용합니다. 소금쟁이의 발이 물 위에 떠다니기 쉬운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표면 장력이 발에 작용하여 물위에서 점프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이 소금쟁는 발이 물에 닿게 되면 물이 오목하게 들어가 표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물의 표면은 소금쟁이의 발을 위로 밀어 올려 표면적을 줄이려 하는데 이것이 바로 소금쟁이가 표면장력으로 물에 뜰 수 있는 원리이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는 물 위에서 점프를 할 수 있는 이유는 물의 표면장력 때문입니다. 물의 표면은 분자 간의 결합력 때문에 상당히 단단한 표면으로 유지됩니다. 이 때, 소금쟁이는 물 위에 떠 있는 자신의 몸무게보다 더 큰 힘으로 다리를 뻗어서 물의 표면을 굴리는 것과 같은 움직임을 만들어 냅니다. 이렇게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에너지는 물의 표면장력을 극복하여 소금쟁이를 공중으로 띄워주게 됩니다.
또한, 소금쟁이는 물의 밀도와 부력을 이용하여 물 위에 떠 있을 수 있습니다. 소금쟁이는 자신의 몸무게보다 가벼운 물 위에서 부력을 받아 떠 있는 상태이며, 다리로 점프를 하면서 생기는 움직임으로 인해 부력을 이용하여 물 위에 떠 있으면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소금쟁이가 물 위에서 뛸 수 있는 이유는 표면 장력(surface tension) 때문입니다. 물 분자는 서로 강하게 결합하여 표면에 마치 탄성을 띤 막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표면 장력으로 인해 작은 물방울이나 작은 물고기 같은 경미한 물체들이 물 위에서 뜰 수 있습니다. 소금쟁이도 물 분자들과 상호작용하여 표면에 뜰 수 있으며, 물 위에서 움직일 때는 물 위에 발을 미끄러지듯이 올려놓고 움직입니다. 그리고 점프할 때는 다리를 사용하여 표면 장력을 뛰어넘고 공중에서 날아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소금쟁이는 물 위에 뜨는 작은 개체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작은 개체들이 물 위에 뜨는 이유는 표면장력(surface tension) 때문입니다.
물 분자들은 서로 붙어서 표면이 형성됩니다. 이 때, 분자들이 표면에 위치하면 분자들이 위쪽으로만 힘을 받으므로 표면 위에 붙어 있는 분자들은 서로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서로 붙어있게 됩니다. 이렇게 분자들이 서로 붙어있는 것이 표면장력이며, 이는 물 위에 작은 개체들이 뜨는 원리입니다.
소금쟁이도 물 위에서 뜨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소금쟁이의 다리와 몸통이 물 위에 떠 있고, 이때 다리와 몸통 사이의 공기가 물 위에 떠 있으므로 표면장력에 의해 물 위에 뜨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에 가라앉지 않도록 하는 기름물질이 다리에서 분비되기 때문입니다.
기름에의해 물에 가라앉지않고 뛸수있게 됩니다.
-> 소금쟁이 자체의 무게도 무겁지 않음.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는 미끄러짐과 점프를 통해 빠르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의 표면장력입니다. 물의 표면에 있는 분자들은 서로 인력으로 인해 서로 붙어 있어서 표면에 약간의 두께를 만들어 냅니다. 이때 표면을 이루는 물 분자들의 분자력이 아래로, 즉 수면 아래로 작용하기 때문에 물 위에서는 표면을 가로지르는 물체가 있으면 그것이 물 분자들의 인력을 이겨내야 합니다.
소금쟁이는 물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미끄러지듯이 물 위를 움직입니다. 그리고 물 위에서 점프를 할 때는 다리를 빠르게 튕기면서 힘을 줍니다. 이 때 다리를 물 위에 닿았을 때 발생하는 반작용력이 발생하여, 그 반작용력에 의해 소금쟁이의 몸통과 다리가 물 위로 튀어오릅니다. 이렇게 튕기는 과정에서 물 위의 마찰력과 중력을 이겨내며, 소금쟁이는 물 위로 뛰어오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가 점프할 때 물을 너무세게 누르면 표면을 뚫고 빠져버리지만, 적당한 힘으로 눌러주면 아이들이 트램펄린에서 뛰어오르는 것처럼 물 위에서 점프할 수 있다. 너무 약하게 누르면 물위에서 진동만 일을킬 뿐 뛰어오를 수는 없다.
소금쟁이는 물에 빠지지 않으면서도 뛰어오를 수 있을 만큼 적당한 힘으로 물을 밀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