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아름드리
아름드리

어려운 문제와 쉬운 문제가 동시에 있다면 푸는 순서를 어떻게 선택하게 하면 좋을까요?

어렸을 때 형성된 습관이 어른이 되어서도 계속 영향을 주는 거 같아서요. 어려운 문제와 쉬운 문제가 동시에 있다면 푸는 순서를 어떻게 선택하도록 도와주면 좋을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사실 대부분의 시험에 제한 시간이 있기 때문에 먼저 푸는 문제들은 난이도가 쉽고 내가 풀기에 어렵지 않은 쉬워 보이는 문제들 먼저 푸는 게 시험 문제를 효율적으로 보기 위한 방법입니다. 어려운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에 쉬 문제들을 먼저 해결하고 어려운 문제에 시간을 더 투자하는게 현명한것이죠.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자신감 있는 문제부터 시작하면 성취감을 느낄 수 있고, 이로 인해 더 많은 에너지와 집중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아이의 성격에 따라 다를꺼 같아요.

      승부욕과 책임감이 강한 아이는 포기하지않고 끝까지 풀거나 안돼면 자료를 찾아보거나 선생님과 부모님께 도움요청할꺼에요.

      많은 아이들은 포기하는 경우가 많지요.

      그래서 보통 아이들은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문제를 푸는것이 좋은거 같아요.

      저는 어려운 문제를 오랜시간 가지고 있으면서 포기하는 상황보다는 쉬운 문제를 재미있게 빨리 풀고 어려운 문제 푸는것이 좋더라구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려운 문제를 해결 할려고 한다면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마음은 더 불안해 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쉬운 문제를 해결한 후, 어려운 문제에 더 시간을 투자해서 마음이 불안하지 않게 천천히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시간이 덜 걸리는 문제를 빨리 푼다면 어려운 문제에 시간을 더 투자할 수 있고, 그 문제에 핵심을 더 상세하게 알아갈 수 있기 때문 입니다.

    • 보통 문제를 풀때 시간제한이 있기때문에

      쉬운문제부터 다 풀어 놓고

      어려운 문제를 천천히 푸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어려운 문제를 풀면서 헤매다가 시간다가서

      쉬운문제를 놓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떤 시험이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는 뒤로 뺴두고 쉬운문제를 먼저 푸시는게 효율적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성향마다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 쉬운문제를

      먼저 푸는 것이 아이들의 이해를 돕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쉬운문제로 인해 아이가 원리를 이해하고 자신감을 가질수 있다고

      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쉬우문제와 어려운 문제가 있을때 어려운 문제를 먼저 풀경우 자신감이 떨어져서 포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어려운 문제보다는 쉬운 문제를 푸는 것이 더 좋습니다. 아이들은 쉬운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자신감을 얻을수 있고 어려운 문제에 대한 접근방법을 찾기 쉬워질수 있기때문에 단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