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세상이 궁금한 고양이
세상이 궁금한 고양이

트럼프의 무역정책이 미국 내 일자리 창출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세상이 궁금한 고양이 입니다.

트럼프의 관세와 보호무역 정책이 미국 제조업과 서비스업 일자리 창출에 미친 긍정적, 부정적 효과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트럼프의 관세, 보호무역주의는 미국내 공장건설 및 제조업의 부흥을 이끌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제조업이 부흥함에 따라서 미국 내 서비스업도 호황을 이루었습니다. 다만 이러한 부분이 추후 코로나때 국경봉쇄가 되자 노동인구 부족등으로 부작용이 나타나면서 인플레이션을 가속화시켰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와 보호무역 정책은 미국 제조업과 서비스업 일자리 창출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제조업 분야에서는 일부 산업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철강, 알루미늄 등 특정 품목에 대한 관세 부과로 미국 내 생산이 늘어나고 관련 일자리가 증가한 사례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전반적인 경제에 제한적으로 작용하며, 수출 의존도가 높은 제조업체는 보복 관세로 인해 피해를 입기도 했습니다.

    서비스업에서는 보호무역의 혜택이 상대적으로 덜하며, 관세로 인한 원가 상승과 소비자 부담 증가가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수출과 국제 무역에 의존하는 서비스업의 일자리 창출은 위축될 가능성이 큽니다. 결과적으로 보호무역 정책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측면도 있지만, 경제 전반에 미친 부작용과 글로벌 경쟁력 약화를 고려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트럼프의 보호무역 정책은 미국 내 일자리 창출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높은 관세 부과로 인해 제조업 부문에서는 일부 일자리가 증가했습니다. 특히 철강과 알루미늄 산업에서 생산 활동이 확대되면서 고용이 늘어나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이는 해외로 이전된 생산시설을 다시 미국으로 유치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정책의 결과였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관세 부과로 수입품 가격이 상승하면서 소비자 비용이 증가했고, 이는 제조업 외의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자동차와 전자제품 등 수입 부품 의존도가 높은 산업에서 생산 비용이 증가하며, 경쟁력 약화로 인한 고용 감소가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영향은 서비스업에도 파급되어 소비 감소로 이어졌습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트럼프의 정책은 특정 산업에서는 긍정적인 고용 효과를 가져왔지만, 전체 경제에서는 수입품 비용 증가와 공급망 변화로 인한 부정적인 효과도 나타났습니다. 보호무역의 단기적 성과와 장기적 리스크를 모두 고려할 때, 이러한 정책이 일자리 창출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트럼프의 무역정책은 미국 내 일자리 창출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리쇼어링과 외국직접투자(fdi)로 인한 일자리가 2010년 1만 명대에서 2021~2023년 20만~30만 명대로 급증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정부의 미중 갈등과 보호무역 정책이 일부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관세 정책의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무역불균형은 저축과 투자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므로 무역정책적 수단의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고관세 정책은 수입품 가격 상승을 초래해 무역적자 개선 효과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트럼프의 무역정책은 일부 제조업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지만, 그 효과의 지속성과 전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관세 정책의 장기적 효과와 글로벌 경제 환경 변화를 고려한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