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고학년 수학 공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수학 학원을 다니고 있는데 수학 학원만으로는
부족한 거 같아서 집에서 연산 문제집을 풀게 했거든요.
그런데 초등 고학년이 되니 연산은 너무 지겨워 해서요..
챗GPT는 하루 한장이라도 조금씩 연산을 하게 하고 수학학원+학원 숙제를 하는 방향을 추천하고
애는 연산 안 하고, 패드 학습지로 수학 하겠다는 입장이예요.
학습지는 문제집이 같이 포함 된 거라.. 그럼 교과 문제집만 여러권 풀게 되는 건데..
어차피 수학 문제집은 연산 없이는 문제 풀 수 없으니까..
그냥 하고 싶은 걸 시켜야 할지..
연산을 끌고 가야 할지 너무 고민인데..
연산 문제집 25문제 중에 1~2개 틀리는데.. 이제 그만시키고 교과 수학 문제집 하나 더 풀게 할까요?
아니면 그냥 패드로 강의 듣고 패드 내에 있는 문제 푸는 걸로만 할까요..
점점 방향성 잡기가 너무 힘드네요.
지금 연산 문제집 풀고 있지만.. 연산 문제집을 한 권 다 푸는 것보단 애가 수학을 잘 하게 되는 게 더 중요하잖아요?
문제집 버리더라도 제대로 가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ㅠㅠ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이의 수학은 문제적 내용의 이해하는 부분이 가장 중요 합니다,
그렇기에 아이에게 현재 필요로 하는 것은 문제적 상황을 이해하고 그 문제적 상황을 어떻게 해결을 하면 좋을지
이에 대한 부분의 인지시켜 주는 부분이 필요로 하겠습니다.
모든 과목을 통틀어 학습을 할 때 중요한 부분은
학습을 왜 해야만 하는가 라는 학습의 중요성 부터 인지를 시켜주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
또한, 아이의 학습의 방법은 연산.암산.서술.개념 등을 매일 반복적으로 꾸준함으로 알려주는 것인데요.
이때 중요한 학습방법은 아이의 스타일에 맞게, 아이의 수준을 고려하여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초등 고학년 수학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연산은 계속 시켜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등 수학의 기반은 연산력입니다.
연산은 단순 반복이 아니라 개념과 연결된 사고 훈련으로 전환해야 할 시점입니다.
아이가 연산을 지겨워하고 흥미가 떨어져 있는 상황이라면 수학 자체를 싫어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연산을 속도 중심에서 이해 중심으로 바꾸는 전환기가 초등 고학년입니다.
균형 잡힌 수학 루틴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루 10분, 짧고 정확하게 연산훈련을 합니다.
교과문제집, 패드학습지, 수학학원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 고학년은 이미 기본 연산력이 안정화되는 시기라 아이가 25문제 중 1-2개만 틀린다면 연산은 유지 차원에서 하루 5-10분 짧게만 하셔도 충분합니다. 대신 교과 개념+사고력 문제+서술형 문제로 확장해 주는 게 더 중요합니다. 아이가 지루해한다면 패드 학습지를 활용하되 단순 문제풀이에 그치지 않고 왜 이런 풀이가 되는지 설명하게 하세요
안녕하세요.
연산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비중이 줄어드는 게 맞습니다. 아이 입장에서는 연산이 지루해 할 수 있는 점이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아이가 계산을 못해서 틀리는 경우는 없고, 결국에는 수학적으로 생각해 낼 수 있는 사고력과 역량의 문제라고 보입니다.
지금 연산 문제를 풀더라도 정답률이 높은 편이고, 수학 학원도 다니고 있는 상황에서 아이가 너무 학습량이 과하다고 느낄 수도 있을 듯 해요. 아이가 수학 문제집을 잘 풀고 있다면, 연산은 꼭 하지 않아도 될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수학공부를 위해 연산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연산을 꾸준히 하였고 연산을 너무 지겨워 한다면 학습효과가 미비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만 아이와 대화를 통해 수학문제를 풀때 연산에 대한 실수는 없게하고 교과수학 문제를 푸는 훈련도 필요하기 때문에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만약 교과수학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연산실수가 반복이 된다면 조금이라도 연산을 다시 시작하는 것이 아이에게 도움될 수 있으니 자기주도학습을 할 수 있도록 믿고 지켜봐 주는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