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예전에 우리나라 남자들이 틀었던 상투는 언제부터 틀었나요?

우리나라 남자들은 예전에 머리카락을 자르지 않고 상투를 틀었다고 하는데요. 우리나라 남자들이 틀었던 상투는 언제부터 틀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남자들이 상투를 트는 풍습은 삼국시대애도 계승되었습니다 .

    혼인한 남자의 전통적인 머리모양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상투의 어원은 '상두'로 북두칠성의 '북두'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우리 민족만이 상투를 트는 관습이 잇었으며, 북두칠성에 계신 상제와 소통을 바라는 바람의 상징이기 한다고 합니다.

    <사기>에서 위만이 '추결을 하고 왔다는 기록, <삼국지>의 동이전 한조에서 '고두노계'(관모를 쓰지 않는 날상투) 기록과 고구려 고분 벽화, 신라의 금령총 출도 도기에도 상투가 표현되어 오랜 전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상투는 어릴 때는 댕기를 드리다가 장가를 가면 머리카락을 끌어올려서 정수리 부분에서 감아 매던 머리형으로 중국의 '사기'에 위만이 고조선에 들어올 때 추결을 하고 왔다는 기록과 '삼국지' 위서 동이전 한조에 괴두노계 즉 관모를 쓰지 않는 날 상투를 하였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로 미루어 상투의 역사가 매우 오래됨을 알 수 있으며 그 확실한 모습은 고구려의 고분 벽화에서 볼 수 있습니다 벽화에 나타나는 상투의 모양은 커다랗고 둥근 것 작고 둥근 것 쌍쌍투가 있는데 큰 상투는 관모를 쓰지 않은 장사도나 역사상에 많고 작은 상투는 관모를 쓰는 귀인층에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상투와 같은 경우 고조선 시대에도 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등

    그 이전부터 하였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