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우리나라에 사는 식물들 중 구상나무는 왜 크리스마스 트리의 모델이 되었나요?
우리나라에만 사는 나무들 중 구상나무 있잖아요.
실제로 야생에서는 우리나라에만 살던 희귀식물인데 세계인들이 뿌리채 뽑거나 씨앗을 채취하고 베어서 크리스마스 트리를 만들었대요.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보호해야 될 토종식물로 봐야 하는데 왜 아직도 크리스마스 트리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크리스마스 트리의 모델로 구상나무가 선택된 이유는 그 특성과 역사적 배경 때문입니다.
구상나무는 한국의 고유종으로, 한라산, 지리산 등 해발 1,000m 이상의 높은 곳에서 서식하는 식물입니다. 이 나무는 잎끝 가운데가 오목하게 파여 있고 솔방울이 하늘을 향하고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구상나무는 크리스마스 트리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죠.
구상나무가 크리스마스 트리로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1907년 프랑스인 선교사가 제주도에서 채집한 구상나무 표본을 영국의 식물학자에게 보내어, 그가 이를 신종으로 발표하면서부터입니다. 이후 서양에서는 장식을 걸기 좋은 구상나무의 품종을 연구 개량하였고, 이를 통해 크리스마스 트리로 사용되게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