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은 옮기는 질병인건지 궁금합니다.
대상포진은 옮기는 질병인건지 궁금합니다.
대상포진은 전염성이 있는건가요?
대상포진 부위에 손이 닿았을때에 전염이 되는건가요?
아니면 접촉만해도 전염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대상포진은 접촉을 통해 감염되어질 수 있어요. 수포병변이 있을떄 접촉을 회피해주시는게 필요하며,
대상포진 백신을 접종하는 것도 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대상포진은 바이러스성 질환이기 때문에 옮기거나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접촉이 간단히 되었다고 해서 감염이 되는 것이 아니라 물집 등에서 활성화된 바이러스가 면역력이 없는 사람에게 접촉되었을 경우에 감염이 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올려주신 내용은 잘 읽어보았습니다. 대상포진은 전염성이 있는 것인지, 접촉만 해도 전염이 되는 것인지 궁금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대상포진을 유발하는 것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로, 해당 바이러스는 몸 속에서 잠복해 있습니다. 신경절에 잠복하다가 전반적인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면서 활성화되어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밀접한 접촉을 통해 수두 바이러스가 다른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는데, 대상포진 환자의 물집에 직접적으로 접촉이 되면 해당 바이러스가 전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접촉한다고 해서 바로 대상포진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수두를 앓은 적이 없다면 수두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수포가 딱지로 변하였거나 직접적인 접촉이 없거나 예방접종 등을 하였고, 면역력이 제대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전염 가능성이 낮습니다. 그러므로, 단순 접촉으로는 전염이 된다고 보기 어려우며, 평상시 면역력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50세 이상, 만성 질환을 가진 경우, 면역력이 저하된 경우에는 대상포진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대상포진 예방 접종 주사를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 접종 주사를 맞으면 대상포진에 걸릴 가능성을 낮춰주며, 대상포진이 생기더라도 증상이 약하게 나타나고 증상도 상대적으로 빠르게 호전될 수 있습니다.
궁금한 내용에 대해 조금이라도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무더운 날씨가 곧 끝나가는데 건강 관리를 잘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