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흰호저93
흰호저9323.09.07

임파선 목 뒤쪽 멍울 약먹어도 오래가나요?

나이
38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소염진통제
기저질환
없음

대칭적으로 목 귀쪽보다 더 뒷쪽에 양쪽으로 멍울이 있어요.

이비인후과가서 약 먹은지 10일정도 됐는데 사이즈가 아주 미세하게 살짝 주는거 같더니 오늘은 왠지 더 커진 느낌이에요.

혹은 딱딱한 편인거 같고 움직이지 않아요. 그래서 걱정입니다. 이게 위험하다 인터넷에서 나오더라구요.

초음파 봤을때 모양 괜찮다고 했었고 ct까지 찍었는데 괜찮다고 했거든요.

괜찮은거 맞을까요?조직검사를 해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더 커지는 양상이 아니라면 림프절염 등의 가능성이 있기 떄문에 경과관찰이 추천됩니다.

    다만 호전이 없을 경우는 조직검사 까지 진행을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크게 우려하실 사항은 아닐것으로 판단 됩니다. 양측성이라면 단일성 림프절비대보다 더욱 안전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크기의 변화를 보면 점차 커질 때에는 악성일 가능성이 많고, 커졌다 작아졌다 할 때는 염증성, 경부 림프절의 크기 가 1cm 이하이며 양측성 또는 다발성으로 있을 때에는 악 성 림프종을 제외하고는 양성일 가능성이 많다. 경부림프절 의 크기가 1cm 이상인 경우에는 악성일 가능성이 많으나 level Ⅰ과 level Ⅱ의 경우에는 1.5cm 이상, 인두후림프절 (retropharyngeal lymph node)의 경우 8mm 이상이면 악 성을 의심할 수 있다(5, 6). 압통의 유무에 의한 감별을 보면 악성은 무통성이 대부분 이나 염증성은 압통이 있는 경우가 많다. 종괴의 경도와 유 착 유무를 보면 낭(cyst) 혹은 지방종(lipoma)은 부드럽고, 림프관종(lymphangioma)은 파동성이 있다. 유동성이 있 으면 양성, 단단하게 주위와 유착이 있을 때에는 악성일 가 능성이 많다.

    발견 당시의 크기 및 이후에 크기가 커지는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질문하신 내용에는 정확한 크기와 위치가 나와 있지 않아 대답해드리기 어렵습니다. 본인께서 너무 걱정되어 조직검사를 원하시면 상급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조직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크게 있지 않다면 조금 더 약물을 복용하면서 차도를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약물 복용 후 10일 이내에 호전되면 참 이상적인 상황이겠지만 그렇지 않을 수 있으며 치료 기간이 더 걸릴 수 있습니다. 걱정된다면 조직검사를 해보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지만 개인적으로는 조금 더 약을 먹으면서 지켜볼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