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가 후천적인것도 있는게 맞을가요?
제 남동생이 발달장애입니다
4살때인가 발달장애 1급 진단을 받았는데
어릴땐 옹알이도 하고 저보다 말을 빨리 트고 불르면 응?하면서 대답도하고 반응도 보이고 그랬습니다
그러다가 제동생이 사실 요도하열이라는 신체적인 병이 있게 태어났는데
수술을 여러번했거든요 제 기억으로는 동생이 6살까지 거의 병원 입퇴원이 잦은걸로 기억납니다
알아보니 선천적인 자폐가 많은데 후천적인 그런건 자료는 없네요...
후천적인 자폐도 좀 있을까요?
엄마한테 물어보면 그 진단해준 의사가 후천적인걸로 진단을 내리셨다고하는데
알아보면 거의 없더라고요 주변에 후천적으로 그런지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일반적으로 선천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이는 유전적 요소와 뇌 발달의 특이성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고, 생애 초기에 나타나는 발달적 어려움들이 주로 관찰되는 특징이 있죠. 질문자분의 남동생이 어릴 적 옹알이도 하고 반응도 보였다고 하셨는데, 발달장애의 징후는 개인마다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어 정확한 시기를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어요. 남동생의 수술로 인해 병원에 자주 입원했던 경험이 발달 과정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병원 입퇴원이 잦으면 스트레스나 환경 변화로 인해 행동이 변화할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원인을 특정한 사건에만 기인한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물론 후천적인 요소가 작용할 가능성에 대해 다양한 견해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의사의 판단에 따라 다르게 설명될 수 있어요. 질문자분의 가족과 함께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자세한 진단과 평가를 받아보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발달장애와 자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필요한 지원을 잘 받을 수 있도록 전문가와 지속적인 상담과 지원을 권장드립니다.
자폐는 대부분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이 모두 복합적으로 관여합니다.
후천적 자폐의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요인으로 발달 퇴행(초기에는 정상 발달하다가 이후에 퇴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환경적 요인(임신 중 합병증, 산후 위험 요인 등), 바이러스 감염(중추신경계에 생긴 감염)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일반적으로 선천적인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수의 연구에 따르면 유전적인 요소가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며, 태아기의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이 관련될 수 있습니다. 후천적인 요인만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발생한다는 명확한 증거는 현재까지는 부족한 상황입니다. 어릴 때 발달장애가 없는 것으로 보이다가 나중에 증상이 나타날 경우, 이는 선천적인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증상이 서서히 드러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병원 환경이나 신체적인 질환, 수술 등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이 기존의 발달 문제를 더 뚜렷하게 보이게 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경험만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후천적으로 발달시킨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진단은 복합적인 요소에 의해 이루어지며, 발달 전문가가 다양한 발달 이력을 기반으로 진행합니다. 동생의 경우 초기에는 자폐의 증상이 뚜렷하지 않다가 자라면서 증상이 두드러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병원에서 받은 진단 결과와 자세한 발달 이력을 토대로 더 깊이 있는 평가와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발달장애와 자폐증은 선천적인 원인이 대부분이며, 보통 유전적인 요인이나 뇌의 발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후천적인 자폐증은 매우 드물고, 현재로서는 후천적인 자폐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의학적 개념은 아닙니다.
이론적으로는 특정한 뇌손상이나 질병, 심한 환경적 스트레스 등이 부차적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겠지만 실제로 그런 경우는 드물며 추가적인 진단과 검사가 필요할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