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로 결제되는 해외 구독 어플 환율 때문에 어질어질한데 어떻게 관리해줘야할지?
지금 쓰는 어플들만 해도 영상이나 음악, 디자인 툴같은 경우 해외 구독이다보니 달러로 결제되는데 이게 환율 급등기에는 월 지출이 평소보다 더 늘어나더라고요. 딱히 뭘 더 사고 한 것도 아닌데 월 지출은 늘어나다보니 이게 환율에 민감하게 되더라고요. 그래서 이번에 구체적으로 월 지출을 좀 더 줄여서 절약을 해보려고 합니다. 연 단위 결제로 할인받아 평균 환율을 낮추는 방식이 실제로 유리할까요? 팀 요금제를 지인과 합법적 범위에서 공유하는 선택이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되는지, 그리고 해지·환불 규정과 결제일 변동 요청을 어떻게 관리하면 불필요한 낭비를 막을 수 있는지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막상 이것저것 따지면서 지출을 줄여나가려고 하다보니 너무 어렵네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외화 선불카드인 트래블월렛, 트래블로그 등을 활용하는 것이 환율 변동 리스크를 가장 효과적으로 헤지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환율이 상대적으로 낮을 때 미리 달러를 충전해두면, 이후 환율이 상승해도 이미 저렴하게 구매한 달러로 결제가 이루어집니다.
이런 방법중 하나에는 빗썸과 같은 가상자산거래소에서 테더나 서클과 같은 스테이블코인을 사서 해외거래소에서 보내서 예치하여 환헷지를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또한 현재 사용하는 신용카드의 해외 결제 수수료를 확인해보시고 카드사마다 0.2-2.5%까지 차이가 날 수 있으며, 일부 카드는 해외 결제 수수료를 아예 면제해주기도 하기 때문에 이부분도 매우 중요합니다.
연간결제도 위에서 말씀하신것처럼 좋은 전략이 맞습니다. 결국 대부분의 서비스가 10-30% 할인 제공하고 결제 시점의 환율로 1년간 비용 확정되기 때문에 지출관리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달러 결제가 되는 해외 구독 어플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쉽게도 이런 부분은 원화 결제가 되지 않는 이상
관리할 방법이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 때문에 구독료가 들쭉날쭉하면 진짜 짜증 나죠. 보기에 연 단위 결제는 일단 할인도 받고 평균 환율 효과도 있어서 안정감은 있습니다. 근데 환불 조건이 까다로워서 중간에 해지하면 손해볼 수도 있으니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새 단체구독을 지원하는 플랫폼도 많이있고 가족 요금제와 같이 다인구독 유형도 많으니 활용해보심 좋을듯합니다.
추가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어플과 그렇지 았은 어플을 정리해보심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제가 크게 3가지로 나눠서 관리할 방안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해외 구독 어플의 연 단위 결제: 월별 결제보다 큰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낮은 환율 시점에 결제하여 1년 동안 환율 변동성 영향을 덜 받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여러 사람과 공유 아이디 사용: 지인과 함께 합법적인 범위 내에서 팀 또는 가족 요금제를 공유하면 1인당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비용 절감이 가능합니다.
해지·환불 및 결제일 관리: 서비스 해지 및 환불 규정을 사전에 꼼꼼히 확인하고, 결제일을 조정하여 관리 효율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지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