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5

금리가 언제쯤 다시 내려올까요?

안녕하세요!

요즘 금리가 엄청나게 올랐잖아요?

이렇게 금리가 계속해서 오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금리가 다시 내려오기 위해서는 뭐가 필요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중진 경제전문가blue-check
    전중진 경제전문가23.01.05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물가상승률이 높기 때문에 금리가 올라가는 것이며

    이를 잡기 위하여 금리를 올리는 것입니다.

    경기가 침체되거나 부양이 필요할 경우에는 금리를 인하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계속 올라가는 이유는 인플레이션 때문입니다.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올리고 있습니다. 금리를 올려 경기 과열을 억제하고 코로나 때 풀렸던 돈을 회수하여 통화 가치를 올리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인플레이션이 하락한다는 명확한 확신을 설 때 금리 인상을 멈출 것 입니다. 물론 미연준의 기준금리와 비교하여 달러의 이탈을 막는 수준까지 금리를 올려야 할 것입니다.

    금리가 내려오기 위해서는 인플레이션율이 연 2% ~ 3% 까지 내려와야 합니다. 또는 인플레이션이 확실히 잡혔다는 수준에 도달하고 경기침체가 아주 심해야 금리를 인하할 것입니다. 결국 2023년에는 금리 인하는 어렵다고 개인적으로 생각됩니다. 일부 의견에는 2023년 하반기에는 금리 인하가 있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했던 이유는 과거 코로나 시기에 저금리 기조와 정책자금이나 보조금 지원과 같은 양적완화 정책으로 인해서 발생한 화폐의 유동성 증가로 인한 것입니다. 화폐의 유동성이 크게 증가하다 보니 인플레이션이 증가하게 되었고, 미국과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가 모두 인플레이션에 노출되어 있어 금리를 인상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는 달러환율의 방어를 위해서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갈 수 밖에 없는데, 미국의 경우는 올 해 상반기 동안 금리인상을 할 것으로 예상되며 예상되는 금리 정점 수준은 5%~5.5%로 예상되며, 우리나라의 경우도 미국을 따라서 상반기동안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우리나라의 경우는 정점금리 수준은 3.75%~4.25%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결국 금리가 다시 내려오기 위해서는 인플레이션 값이 제자리를 찾거나 혹은 경기침체 현상이 매우 심각하게 발생해야 합니다. 그런데 현재 미국의 상황을 보면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는 있으나 경기침체의 징조가 크게 보이지 않다보니 CPI값이 연준의 목표값인 2%대로 도달하게 되는 것이 금리인하를 위한 전제조건이 된다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미국은 개인대출금액이 감소하였던 것에 반해서 우리나라는 개인대출이 지난 5년동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변동금리 비율이 80%를 넘다보니 금리인상으로 인한 소비침체가 더욱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로 인해서 미국의 금리인하가 2024년 중반부터 될 것을 예상한다면 우리나라는 이 보다 조금 앞선 2023년 연말 혹은 2024년 초반부터 금리인하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상황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계속 오르는 이유는 미국의 물가가 계속 오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연준에서 이를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리는 것입니다.

    그럼 반대로 금리가 내려오려면 미국의 물가가 안정되어야 합니다.

    CPI기준 2% 정도를 안정으로 보는데, 현재는 7% 가 넘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