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율곡 이이가 만든 해주 향약은 어떤 의미를 담고 있나요?

율곡 이이 선생이 황해도 감사로 있을 때

해주 향약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해주 향약이라는 것이 무엇인가요?

해주 향약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고

근본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여씨향약을 근거로 율곡 이이가 수정개편하여 1577년에 만든 향약입니다.

      해주향약은 해주지방의 유생이나 향사족들이 권선징악과 상호부조를 강화하게 하기 위한 향규약으로 제정한 것입니다.

      조선후기에 가장 널리 보급된 한국 향약으로서 가장 완벽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향약은 1517년 경상감사김안국에 의하여 「주자증손여씨향약(朱子增損呂氏鄕約 )」의 언해본(諺解本)이 출간되고, 선조대에 전국적인 시행 논의를 거치면서 전국적으로 보급, 확산되어 갔다. 특히 조선중기 주자학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고 퇴계(退溪)이황(李滉)과 율곡(栗谷)이이(李珥)에 의하여 조선적인 성리학이 정착됨에 따라 향약의 조선화도 추진되어 퇴계향약과 율곡향약이라는 두 갈래의 큰 흐름이 형성되었다. 17세기 이후의 향약은 이 양대 향약을 전형으로 하면서 계승, 발전시킨 것이라고 하겠다. 즉 퇴계와 율곡에 의해 향약은 우리의 체질에 맞게 수용된 것이다.

      퇴계이황이 주도한 향약이 사족(士族)을 중심으로 한 자율적 향촌 지배의 성격이 강하였다면, 율곡이이의 향약은 시기와 장소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시도되었다. 즉 반관(半官) 기구인 유향소를 활용하여 관권을 활용하는 측면이 강한 ‘해주일향약속(海州一鄕約束)’과 같은 것이 있는가 하면, ‘사창계약속(社倉契約束)’처럼 지역적인 범위가 20리를 넘지 않는 지역 공동체의 재생산 기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도 있다.

      해주향약은 해주 지방의 유생이나 사족들이 권선징악과 상호 부조를 통하여 사풍(士風)을 강화하게 하기 위한 향규로 제정된 것이었다. 해주일향약속도 「여씨향약」의 4대 강목을 채용하여 명칭상으로는 향약이지만 내용상에서는 향규임을 알 수 있다. 즉 「여씨향약」의 4대 강목을 채용하면서도 그 외의 각 조목은 그 지방 실정에 맞도록 규정한 것이다. 예컨대 4대 강목 중 과실상규와 환난상휼의 두 강령에 관한 조목은 더욱 상세하게 규정되어 있다.

      특히 관속(官屬)의 중대한 범죄가 바로잡히지 않을 때는 약원(約員)들을 중심으로 여론을 일으켜 관권을 견제하고 향권을 지켜 나가려는 지방 자치적 성격이 농후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율곡이 만든 일련의 향규 조약들은 그의 학문을 이은 기호 지방에 영향을 주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보은군수김홍득(金弘得)이 1747년에 작성한 「보은향약(報恩鄕約)」이다.

      향규로서 최초로 작성된 것은 「함흥신구향헌목(咸興新舊鄕憲目)」에 보이는 「헌목(憲目)」과 「향헌(鄕憲)」이다. 퇴계의 예안향약이나 율곡의 파주향약 및 서원향약, 해주향약도 향규의 성격을 띤 것이다. 조선전기의 경재소·유향소 체제하의 향규는 유향소를 중심으로 한 사족들의 향촌 사회 운영과 관련된 것이 많았으나, 조선후기 경재소가 혁파되고 유향분기가 나타난 이후에는 사족과 향족·향리 등 관속의 위계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향규도 나타나게 되었으며, 교화와 관련하여 형해화된 ‘주현향약(州縣鄕約)’과 구체적인 현실을 규정한 향규의 구분도 심화되어 갔다.

      지금까지 발굴된 대표적인 향규로는 경상북도 안동의 「유향소입의(留鄕所立議)」·「향약절목(鄕約節目)」과 정사성(鄭士誠)의 「향약(鄕約)」, 안의(安義)의 「향중입의(鄕中立議)」·「향중완의(鄕中完議)」, 전라도 구례의 「향규약속조목(鄕規約束條目)」, 장성의 「향헌(鄕憲)」, 창평의 「향중입규(鄕中立規)」, 장수의 「향헌(鄕憲)」, 남원의 「완의(完議)」, 「약속조목(約束條目)」, 순창의 「향유사절목(鄕有司節目)」, 충청도 공주의 「완의」, 연기의 「일향입법(一鄕立法)」 등을 들 수 있다.

      출처: 위키백과 향약